학술논문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이용수 15
- 영문명
- A Investigative Study on Design Process Based Design Instruction Model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전성수(Jeon Seong-Soo)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355~38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의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다. 문화 시대의 첨병은 디자인이다. 삶의 양식이 문화이고 그 삶의 양식이 곧 디자인이기 때문이다. 디자인은 우리 삶의 모든 것에 있고, 디자인이 곧 국력인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런 디자인은 조기 교육이 아주 중요하다. 디자인은 학교 미술교육의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지만 대부분 단순한 꾸미기와 만들기 정도로 인식되고 있고, 포스터를 그리거나 쓸모 있는 것을 만드는 시간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 미술교육에서 생각이 중요하듯이 디자인 교육 역시 생각하게 해야 한다. 생각하면서 디자인하게 해야 의미가 있다. 학생들에게 생각하기 위해서는 생각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 방안이 바로 디자인 프로세스이다. 이 연구를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학생들 수준에 맞는 디자인 교육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디자인 교육이 시사 받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은 문제 해결 과정과 생각하는 탐색 과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수업 모형으로 탐색 모형과 문제 해결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수업 모형들을 모든 디자인 수업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 주제나 재료와 방법, 수업 상황에 따라 변형시켜 적용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21th century is culture age. Design is the point of culture age. Design exists in everything of our lifes, and we are living in age that design is national strength. Deign process is the thinking and investigative process of design.
The design activity is a process for creative problem solution through three steps: the first step that understands the problem by grasping the situation as a creative process that the activity itself makes new works making something out of nothing, the second step that conceives various solutions for solving it and the third step that evaluates an alternative plan and chooses a best proposal. Th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need in all the steps of these design processes and it is essential to create good design, also it is a basic element. Furthermore, as the role of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with close relations with design revolution becomes important more in the modern situation that expects the new meanings and values of the products. Two design process based design instruction models art presented in this study. Those are the problem solving design instruction model and the investigative design instruction model.
In future, art education and design education should be to studied mor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And it is strongly hoped that art education and design education in Korea will develop to the highest dimension hereafter.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현대 디자인과 디자인 프로세스
Ⅲ.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수업모형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