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n Analysis of Arts Education Policy by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세준(Kim Sae-jun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47~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예술교육지원정책의 주관 기관인 미국연방예술기금의 예술교육분야의 정책목표와 주요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정부와 교육, 정책과 예술, 예술과 교육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차이가 정부의 예술교육정책에 반영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 미국의 예술교육정책이 문화정책의 일부분으로서 1960년대 이후 발전되어 왔으며, 기구 운영의 변화와 예술교육정책의 우선 목표의 변화를 함께 반영하여 변모한 것을 발견하였다. 역사적인 사례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지원액수와 건수에 대한 실증연구 결과를 통해 공교육에서 사회교육으로 확장되는 예술교육프로그램의 정책목표 변화를 찾을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의 운영에서는 교육현장에 대한 고려가 예술가에게 요구되었고, 예술교육계와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연계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회교육과 공교육의 차원에서 동시에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objectives and implementing programs of arts education policy by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of evolution of arts education policy in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arts educ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government and arts, and arts and education has affected the arts education policy. The method was to use histor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of grant allocations of NEA from 1995 to 2002. The findings include expanding objectives of the policy from K-12 to life-long education, growing needs of partnership among art, arts education and local community. The recommendation for the program suggests participating artists' teaching workshop.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예술교육을 위한 미국 정부의 지원 실태
Ⅲ. 예술교육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의 지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