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bilities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Analyzing Artwork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희(Kim Jeung-Hee) 이주연(Lee Joo-Yon) 안금희(Ahn Keum-H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417~45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 해석 능력의 수준과 미술품 해석에서의 문제점 유형 및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초·중등교육뿐만 아니라 예비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 교육과정과 관련한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128명의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감상문을 작성하게 한 후 이를 분석하였으며, 집단 면담 및 개별 면담을 통하여 예비 초등교사들의 감상문 작성에 따른 어려움과 작품에 대한 선호 등의 전체적 의견을 알아보았다. 특정 사례의 경우, 개별 면담을 통하여 미술 해석의 개인적, 교육적, 사회적 배경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미술품 감상 경험의 횟수와 개인적인 미술 분야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미술품에 대한 친밀도 및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곧 미술품 해석 능력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선호도, 작품 감상의 난이도, 미술 표현 양식별 해석 능력 정도 등에 대한 조사 결과는 현재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및 미술에 대한 인지 능력의 현 주소를 파악하는 것으로, 앞으로 초·중등학교의 미술교과 및 예비교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교의 교양 및 전공과정의 바람직한 내용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and analyze the abilities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ir appreciation and analysis on artworks, and 2)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content structure of pre-service curriculums in order to insure substantiality.
For this study, 10 two-dimensional paintings were chosen as objects from current art textbooks for G3-10 in Korea, with the reason of that they are more frequently showed and more representative than others. 10 artworks are composed of 5 Korean and 5 foreign, and 2(1 for Korean and 1 for foreign) of each out of 5 areas, 'representative and realistic in their depiction of objects', 'reflection of the spirit of times or social environment and issues', 'expressional feeling and emotion of the artists', 'the emphasis on the fundamental and formal characteristics(the subjects, methods,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and mediums), and the last, 'the emphasis on daydream or fantasy'. Those artworks were shown to 128 pre-service teachers to analyze their abilities in art appreciation. And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executed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and easiness in their description of artworks.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requencies in confronting artworks and the degree of personal interest and experience on art area influence understanding and intimacy of artworks, which is the important factor in analyzation of artworks. For the further study, the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1) The abiliti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in their appreciation and analysis on artworks should be examined, and 2)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content structure of pre-service curriculums in order to insure substantiality. 3) International comparisons would be possi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structure of art textbooks for G3-10 and pre-service curriculums in Kore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술품 해석 능력 평가에 대한 이론적 탐색
Ⅲ. 미술품 해석 능력 평가를 위한 미술품 선정
Ⅳ. 미술품 해석 능력 검사 과정 및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