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이용수 48
- 영문명
- A Comparative-Analyzed Study on Art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Among Korea, U.S.A. and Japan: Focused on how to express and use materials, tools, and techniqu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세명(Jung Se-Myu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259~29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교육은 아동의 자아 표현을 촉진시키고,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초등학교 시기는 미적 발달단계상 여러 단계를 거치는 시기이므로 아동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에서도 표현에 있어서 방법 및 그에 따른 재료와 용구의 사용은 아이들의 감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 미술 교과서에 제시한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단계별(1·2, 3·4, 5·6)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여 각 발달 단계에 적합한 표현 방법과 재료와 용구의 사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All products and activities of children might be close connected with their own emotions and external factors. As a variety of artistic media have been developed, it has influenced and enriched with techniques and vehicles for self-expression of children: It thus could have children choose and use the more artistic materials, tools, and techniques in art makings. In light of those changes, this study aimed at first focusing on analyzing art texts among korea, U.S.A, and Japan through a view of comparative description, then searching for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al use and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methods in elementary levels. In conclusion, to help them express their own self and communicate with peers, people, community and the world, we should provide children with age-appropriate skills, materials, techniques and art textbooks needed in their all artistic activities, and also teach them by being founded on scientific-sequenced art curriculu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초등학교의 발달단계에 따른 조형적 특징
Ⅲ. 각 나라별 초등미술교육과정 비교
Ⅳ. 각 나라별 미술교과서의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