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이용수 6
- 영문명
- Aesthetic expression and support: Support about the arts expression of a mentally handicapped person and school education in creation basi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안도 쿄우이치로(Ando Kyouichiro)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83~1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안점은 미술 교육 실천에서 어린이(제작자)에게 교사는 어떠한 지원을 하여야 하는지 지원의 본연의 자세를 검토하는 것이다. 우선 지적 장애자의 미술 표현 과정과 장애자 센터의 직원이 장애자들에게 어떤 지원을 하는지 구체적 실천 장면을 통해 그 상황을 밝혔다. 그리고 지원의 본연의 자세와 학교 교육 현장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미술 교육 실천 현장에서의 교사의 지원이 역사적(일본의 패전 이후, 즉 1946년 이후부터)으로 어떻게 변용되어 왔는지에 대해 특히 ‘미술 표현의 규범성’의 시점에서 모색하였다. 그 다음, 창조주의에 입각한 미술 교육에 의해 길러진 아동들의 표현이나 수업에 대한 미적 관점을 고찰하여 이러한 미술 교육 실천 장면에 있어서의 교사의 미술 표현 지원의 상황을 밝히려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적 장애자와 학교 교육 현장에 있어서의 미술 표현의 지원 이념에 대해 비교 검토하고, 현재의 미술교육의 전개에 관한 과제를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way teachers teach children according to the practical art education. Therefore at first, we reveal the process of art expression of a mentally handicapped person and what kind of support the staff of handicapped center do the handicapped. 2nd. We reveal how the teacher's support has changed since 1946 from standard artistic view. 3rd. We consider aesthetic view about expression or class of the children that have been raised by the art education on a creative basis. Last of all, we examine between a mentally handicapped person and supporting idea of expression in the field of the school education and suggest the process the present art education.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장애자의 예술 표현 지원
Ⅲ. 미술 표현의 의미
Ⅳ. 창조주의 교육에 있어서의 교사의 지원
Ⅴ. 창조주의에 근거하는 미술 교육의 전개
Ⅵ. 미술 표현의 지원
Ⅶ. 지원 이념의 재고
Ⅷ.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