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이용수 28
- 영문명
- The Comparative Analysis on Editorial design in the Elementary Art Textbooks: focused on Korea, Japan, China and America Art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조성옥(Cho Seong-Oc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189~21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 매체로써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교과서는 지식 전달 기능과 교육의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학생들에게 교육용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편집디자인의 적용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 이후 교과서에 편집디자인의 많은 부분이 도입되었지만 아직은 미흡한 부분이 많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중국은 국정교과서를, 일본과 미국은 사용자 선호도가 가장 높은 교과서를 비교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한국, 중국, 일본과 미국의 초등학교 미술교과서는 그리드, 레이아웃 시스템 및 교과서 외형적 디자인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리드 시스템부분으로 여백, 텍스트, 그래픽요소,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의 비례 및 위치 등을 비교 분석하였고, 외형적 디자인부분으로 판형, 전체 페이지 수, 종이의 지질, 칼라, 표지디자인, 권별분류체계, 사진의 질, 제본방식 등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지식전달과 자유로운 발상을 돕는 미술교과서의 외형적 디자인에서 섬세한 편집디자인의 역할과 기능을 통해 중요성을 제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A textbook has a function as a pivot of educational medium, fulling the purposes of both knowledge transmitting and education. Applying editorial design to textbooks is necessary to deliver educational information to student effectively. Aft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editorial design was introduced to the large proportion of Korean textbooks. But there is still something lack. I chose 4 countries - Korea, Japan, China and America, which are in adjacent cultural area, to analyze elementary art textbooks.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that I chose are government designated ones and Japanese and American textbooks are the most favorable ones among users. I researched those art textbooks by two ways-comparative analysis of grid systems and external design of the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several distinctions about grid systems and external parts.
I hope the text books will fulfill its function as a medium to transfer exact knowledge and help elementary students to think through this research.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편집디자인에 관한 기본개념
Ⅲ. 초등미술교과서 그리드 시스템 및 외형적 디자인 비교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