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이용수 17

영문명
Knowledge and Power embedded on a National Curriculum for Art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정옥희(Jeong Ok-H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19~4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 국가의 교육과정은 그 국가의 사회, 문화, 정치적 배경 내에서 지식과 가치관과 신념 선택의 한 유형으로, 사회통제의 한 방식에 의해 사회적으로 조직화된 지식으로서 교수와 학습의 통일된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표준화된 국가 교육과정에 의한 통제적인 교육정책들 안에서 미술교육은 개인의 부와 신분에 의해 여전히 사회 구조를 한정하고, 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에 하나일지도 모른다. 이러한 관점은 특정 지식을 사회 규범의 정상화와 현대 사회 제도의 원천으로 보았던 푸코의 이론으로 더 명료하게 설명되어질 수 있다. 푸코이론의 지식과 권력의 관계에 의한 교육과정의 분석은 제도적 담론들이 한 사회에서 어떻게 창조되는가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하며, 한 사회나 국가가 어떻게 교육적 지식을 선택하고 분류하며 분배하고 보급하고 평가하는가에 대한 국가 교육과정담론들과 그 담론 내에 있는 미술교육의 역할에 대한 재고의 기회를 준다.

영문 초록

As a selection of types of knowledge, values and beliefs within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ontexts, a national curriculum suggests a uniform structure and provis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as socially organised knowledg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ocial control. Within the controlled educational policies through a standardized national curriculum, art education may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means of controlling the social structure for maintaining boundaries that are still defined by personal wealth and status. This view is concerned with Foucault's theory which has identified certain knowledge as central to the ‘normalization’ of social principles and institutions of modern society. This thesis undertakes a searc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knowledge through investigating how a society or a nation selects, classifies, distributes, transmits and evaluates educational knowledge, found in national curriculum discourses. In recent years, the shift from modernism toward postmodernism in curriculum studies in art education is broadly a socio-cultural approach that challenges social oppression and inequity. This thesis thereby aims to provide the notion of the taken for granted assumptions in the national curriculum discourse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of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the legitimating of discourses. This notion of the discourses provides not only a useful insight into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curriculum, but also a direction for art education in the context of a postmodern curriculu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지식과 권력의 관계
Ⅲ. 국가 교육과정 담론
Ⅳ. 국가 교육과정 담론 속에 있는 미술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옥희(Jeong Ok-Hee) . (2005).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미술교육논총, 19 (3), 19-46

MLA

정옥희(Jeong Ok-Hee)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미술교육논총, 19.3(2005): 1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