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이용수 39
- 영문명
- Knowledge and Power embedded on a National Curriculum for Art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옥희(Jeong Ok-H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19~4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 국가의 교육과정은 그 국가의 사회, 문화, 정치적 배경 내에서 지식과 가치관과 신념 선택의 한 유형으로, 사회통제의 한 방식에 의해 사회적으로 조직화된 지식으로서 교수와 학습의 통일된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표준화된 국가 교육과정에 의한 통제적인 교육정책들 안에서 미술교육은 개인의 부와 신분에 의해 여전히 사회 구조를 한정하고, 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에 하나일지도 모른다. 이러한 관점은 특정 지식을 사회 규범의 정상화와 현대 사회 제도의 원천으로 보았던 푸코의 이론으로 더 명료하게 설명되어질 수 있다. 푸코이론의 지식과 권력의 관계에 의한 교육과정의 분석은 제도적 담론들이 한 사회에서 어떻게 창조되는가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하며, 한 사회나 국가가 어떻게 교육적 지식을 선택하고 분류하며 분배하고 보급하고 평가하는가에 대한 국가 교육과정담론들과 그 담론 내에 있는 미술교육의 역할에 대한 재고의 기회를 준다.
영문 초록
As a selection of types of knowledge, values and beliefs within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ontexts, a national curriculum suggests a uniform structure and provis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as socially organised knowledg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ocial control. Within the controlled educational policies through a standardized national curriculum, art education may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means of controlling the social structure for maintaining boundaries that are still defined by personal wealth and status. This view is concerned with Foucault's theory which has identified certain knowledge as central to the ‘normalization’ of social principles and institutions of modern society. This thesis undertakes a searc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knowledge through investigating how a society or a nation selects, classifies, distributes, transmits and evaluates educational knowledge, found in national curriculum discourses. In recent years, the shift from modernism toward postmodernism in curriculum studies in art education is broadly a socio-cultural approach that challenges social oppression and inequity. This thesis thereby aims to provide the notion of the taken for granted assumptions in the national curriculum discourse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of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the legitimating of discourses. This notion of the discourses provides not only a useful insight into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curriculum, but also a direction for art education in the context of a postmodern curriculu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지식과 권력의 관계
Ⅲ. 국가 교육과정 담론
Ⅳ. 국가 교육과정 담론 속에 있는 미술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