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이용수 217
- 영문명
- A Study on Approaches to Painting Lessons related to Aesthetic Sensibility of Young Children: BankStreet, Reggio Emilia, and Waldorf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임부연(Lim Boo-Yeu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297~32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아미술에서 물감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을 유아의 심미감 발달과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유아미술을 핵심적인 교육과정으로 삼고있는 유아교육 프로그램-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에서 물감활동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관찰자료와 문헌, 영상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각 접근법에서 사용하는 물감재료의 종류와 기법, 심미감의 정의, 그리고 심미감 지원을 위해 사용하는 교사의 상호작용 형태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뱅크스트리트 접근법에서는 유아의 심미감 발달단계에 근거하여 다섯 가지 색의 템페라 페인팅과 간결한 예술언어를 중심으로 상호작용을 강조하였고, 레지오 접근법에서는 심미적 사고에 초점을 두고 다상징적 표상매체로서 물감활동과 사고의 확장을 위한 집단간 토론문화를 강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발도르프 접근법은 영성과 초월적 심미감에 초점을 두고 이를 위하여 젖은 수채화 기법과 시와 문학을 활용한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종종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버리기 쉬운 물감활동의 다양한 사례를 조명해 봄으로써 물감활동은 아동의 심미감 발달을 위하여 가장 의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 교실에서 독립된 미술활동으로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various approaches to painting lesson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which are particularly bounded with fostering young children's aesthetic sensibility. Internationally known early childhood programs-Bank Street, Reggio Emilia, and Waldorf kindergarten-were selected and their painting lessons at each program were observed. Besides observation data, this study includes the analysis on publications and video material containing painting lessons for young children at each school. Data analysis focused on the variety of types of painting materials, the ways of offering the materials, and the perspectives on children's aesthetic sensibility related to painting activity, and the dialogues to support children's aesthetic senses during painting lessons. It was found that the Bank Street Approach uses exclusively tempera paint with only five colors and art language which are supposed to more appropriate to support young children's aesthetic development while Reggio Emilia approach uses a variety of types paint and skills of painting to foster and expand young children's aesthetic thinking and emphasized the abundant dialogue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various group sizes. Waldorf approach uses very unique painting strategies, namely wet on wet approach which seems to be more appropriate to support children's aesthetic sense of colors in nature and utilize poems and literature as a way to interact with young children during the painting lessons. This study revealed unlimited possibility of painting lessons for young children which are often undervalued in current ar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suggests that painting should be a significant way to support young children's aesthetic sensibility and must be offered a year round in an independent way.
목차
<요약>
Ⅰ. 들어가기
Ⅱ. 심미감과 물감활동
Ⅲ. 물감수업의 다양한 실제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