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Case Study of Calligraphy Instruction Using Various Fonts of Korean Writing on Computer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대(Park Young-Da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327~3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어진 체본을 임서하는 수동적인 서예 학습 방법을 보완할 수 있는 수업 사례를 정리한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학생 스스로 서제와 서체를 마련하게 함으로써, 서예 수업을 보다 자발적이며 창의적으로 이끌어내게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쓰고 싶은 서제를 직접 마련하고, 이 서제에 맞는 서체를 컴퓨터에 있는 다양한 한글 중에서 골라 체본을 구성한다. 이렇게 하여 서예 수업을 진행한 결과, 첫째, 새롭고 다양한 글씨를 부담 없이 써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둘째, 개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기존 서예 수업에 대한 딱딱한 고정관념을 깰 수 있었다. 셋째, 학생 자신이 좋아하는 내용과 형식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서예 수업에서 자유로움과 흥미, 보람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다만 출판 인쇄를 주 목적으로 제작된 컴퓨터 서체들이 갖는 도식적인 한계는, 옛 문헌의 서체를 복원·개발하여 교육용으로 보급할 수 있다면 충분히 극복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is a case study of calligraphy lessons for supplementing, rather than substituting, the existing instructional method which lets students duplicate passively the writing samples. By letting students use their computers to select fonts and arrange the content of their calligraphy works, it aims at guiding calligraphy lessons in which students participate voluntarily and creatively. Students are first required to select the content of calligraphy work as they would like to write. Next, by browsing Korean fonts, they themselves select the calligraphic style that may match well with the content, and then make the writing samples on computer. The advantages of using this method are as follows: First, it offered an opportunity for the learners to feel free to use a variety of new handwriting styles. Secondly, because each student could show one's individuality, the stereotypical conception of calligraphy lessons as rigid and strict could be overcome. Thirdly, by providing the students chances to select the content text and form on their own, lessons became interesting, fruitful and liberating. Although there are limits to current fonts as they are designed to be printable, thus having mechanical figures, this problem is to be solved by developing and supplying new fonts that make the most use of the graces of traditional calligraphic styles in historical documen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현행 서예 교육의 문제점
Ⅲ. 컴퓨터를 이용한 서예 수업 과정
Ⅳ. 작품의 예시와 분석
Ⅴ. 컴퓨터를 이용한 서예 수업의 교육적 의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