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이용수 36
- 영문명
- An Art Educational Approach to Media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선(Kim Jung-Su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65~8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문화의 특성을 두드러지게 하는 요인은 매스 미디어의 등장과 발전이고 기술매체에 대한 이해는 현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조건이다. 20세기 후반 디지털로 대표되는 기술 매체의 확장은 문화적 경험을 확장하면서 시각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러한 점은 미술교육학적 관점에서 매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매체는 의미를 실어 나르는 중립적 혹은 수동적 존재가 아니며 특히 현대 문화에서의 매체는 단순히 이미지 생산 기술의 발전이나 다양화의 측면에서만 이해할 수는 없다. 어떤 매체를 사용하느냐는 단순히 선택의 문제만이 아니라 선택하는 자의 존재와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대 문화에서 매체의 변화에 주목하여 매체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매체 변화에 따른 시각예술의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고, 매체의 변화가 시각문화교육에 시사하는 교육적 함의는 고찰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oday the role and function of various mass media have become very significant in our modern culture.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mass media is a prominent characteristics in modern culture. Visual technologies have always an influence on other visual culture, often as new art media, but also through the ways in which they caused us to reconceptualize previous art.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range of visual technologies increased and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of visual culture, expanding culture experience. Visual technologies are based visual aesthetics. Global visual technologies depend on aesthetic strategies that promote perceptual pleasure and teach us how to get more pleasure from them. Through this aesthetic, visual technologies are used in ways that suggest, as well as represent. Particularly computerization enables a hyper-reality that is, in a sense, more real than reality. The fiction of technological imagery can collapse time and space, are recycled from other media, and enhance toward some view of perfection. Thus An education in visual culture must include attention to the issues surrounding visual technologies. This study examined the activ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the change in visual art according to the change of media. It also presents a basic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available in school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매체’의 개념과 특성
Ⅲ. 매체와 시각문화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