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이용수 56
- 영문명
- A Study on the Suggestion of Art Curriculum Design through Efland's Lattice Curriculum Model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강현석(Kang Hyeon-Suk) 이자현(Lee Ja-Hyu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105~1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과정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에서 비롯된다. 특히 내용 조직과 관련하여 다양한 학습이론들이 조직 방법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최근에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는 인지이론과 구성주의는 이 문제에서 타당한 기초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인지와 교육과정 문제에 대해 Efland는 기존의 계층적인 학습을 가정하는 나선형 모형을 비판하고 다원적이고 비순차적인 학습을 보장해주는 Lattice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모형의 배경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미술교육과정설계에 가능한 적용 방안을 논의해보는 데 초점을 둔다. 그리고 래티스 모형의 발전을 을 위하여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나선형의 본질에 입각한 보다 타당한 논의에 기초하여 통합적인 모형의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향후 래티스 모형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하여 학교교육에서 보다 나은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가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노력은 멈출 수 없는 것이며, 인간 사고와 지식의 다양성에 기초하여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suggestion of art curriculum design on the basis of Arthur D. Efland's lattice curriculum model. Curriculum design concerns with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experience and content through interrelating various curriculum elements. In particular, spiral pattern as a mode of organization has been challenged by current theory of constructivism, Recent views of learning and cognition are contrasted with the learning theories of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spiral pattern in art curriculum in the line of the nature of art knowledge and structure of knowledge. Here is that Bruner's idea are contrasted with current theoretical efforts. Current cognitive views, though still indebted to Bruner, differ markedly, suggesting that a sufficient base of knowledge must be in place before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is fruitful(Efland, 1995). Now arts curriculum should be reconsidered by cognition and structure of knowledge.
Efland(1995) suggest lattice curriculum model may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ognitive reflexibility theory. So, according to his argument, curriculum design of art should be estabilished in the line of lattice model rather than spiral model. In deliberation of his suggestion, we discuss the nature and value of lattice model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at model. In the future curriculum model of art need to be integrated model of spiral and lattice on the basis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art knowledge. We are look forward to seeing new picture of arts curriculum nested in structure of knowledge and cogni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교육과정 설계에서 인지적 다원주의의 중요성
Ⅲ. Efland의 Lattice 교육과정 모형의 본질과 적용 방안
Ⅳ. 미술 교육과정 설계에서의 시사점 탐구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