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tudio Art Curriculum for Preservice Primary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도(Yi Sung-Do) 박은덕(Park Eun-Deo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161~18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 양성기관 12개 대학의 미술실기 교육과정 및 강의계획서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미술실기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전 영역에서 원만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균형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구태의연한 실기과정은 지양하고 현 교육과정과 더불어 향후 교육과정 개정의 내용을 포함하며 미술계의 흐름이나 동시대 미술의 동향을 반영하는 다양한 미술 표현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미술교육과 전 교과목의 구조 속에서 교수·학습 및 교과교육과 연계하여 총체적이며 새로운 교육과정의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를 필요로 한다.
영문 초록
To develop more advanced studio art education program, the studio art curricula for the students who will be primary teach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examination of the curricular and syllabuses of the twelve Korean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conducted. In case of the ‘Studio artⅠ’ and ‘Studio artⅡ’, the contents of syllabus and the instruction methods varied among the universities. Generally,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contents was skewed toward drawing and painting, and design area was more or less neglected which should be rectified for balancing the curricula. Neither instruction methods and theory needed for studio art nor various design fields were included properly. Clay is the major material in sculpture. There are littl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Studio artⅠ’ and ‘Studio artⅡ’, and basic drawings and watercolor paintings are the major subject in both cases. For the education of the future primary teachers, the following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udio art program development: To facilitate the expression capability for the preservice primary teachers, it is better the contents should contain proper amounts of information on entire art field, and thus, the program should be redesigned and balanced. It also should reflect new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that will be revised as well as present one, and the current art world and contemporary trends on the studio art program. It should include instruction methods and theory needed for studio ar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미술실기 교육과정
Ⅳ. 미술실기 Ⅰ, Ⅱ의 개발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