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reciation of Students' Art Work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흥숙(Kim Heung-Suk) 이창림(Lee Chang-Lim)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387~41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생작품 감상은 학생들이 그들의 표현결과물을 친구들과 감상하고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는 활동이다. 이것은 작가작품 감상이나 그 밖의 도판 자료로는 접근이 어려운 실물에 의한 감상이며, 학생들이 작가이자 비평가의 역할이 되어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는 것이므로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표현활동 경험에 의한 관점으로 친구들의 작품을 자연스럽게 비평할 수 있으며, 이것은 작가작품 감상과 다음 표현활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 교육 경험에 의하여 학생작품 감상의 의의 및 방향을 논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학생작품 감상 수업의 유형을 문답형, 역할놀이형, 비평형으로 분류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학생활동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appreciation of students' art works means that the students not only watch their own work develop but each others as well. Part of the process involves shar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 work and its development. While the appreciation of prominent artist work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art, the appreciation of students' art works is to engage students' practical experience through critiquing the processes and the results of own work. This can lead to students spontaneously appreciating the art itself and the role of the artists and the critics. In turn, this can lead students to further self expression as well as an appreciation of others' and their work. Currently, the approach has not been explored.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he appreciation of student' art works and provide the direction for them according to practical class experience. These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show their work to each other, are a good way of developing their self-expression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ir completed art work. This approach should be used at all stages of art class, not just as a final activity. This study demonstrates three teaching methods for the appreciation of student' art works in Elementary school: catechism, role-playing and critiquing.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학생작품 감상의 의의 및 방향
Ⅲ. 학생작품 감상 수업모형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