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이용수 42
- 영문명
- The Possibility of the Mixed Methodologies in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황기(Kim Hwang-G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이 미술교육의 관심사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서로 상보적이거나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다른 방법으로 동일한 현상을 연구하여 얻은 결과의 수렴과 확증을 위한 다면적 검증, 둘째, 한 연구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를 다른 연구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로서 검증, 확장, 예증, 설명하는 상호보완성, 셋째, 한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가 다른 방법의 실행을 안내하는 발전, 넷째가 연구 문제를 재구성하도록 유도하는 패러독스나 모순을 발견하는 안내, 다섯째, 다른 탐구 요소들을 위한 다른 연구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탐구의 깊이와 범위를 확대하는 확장 등에서 장점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ovides evidence that the debat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is divisive and counterproductive for advancing the fields of art education. All researchers in art education should learn to use and appreciate both methodologies to develop into ‘bi-researcher’.
Becoming a bi-researcher offers some advantages. First, it enables researchers to be flexible in their investigative techniques. Second, it enables researchers to verify the findings that derives from qualitative approaches by quantitative method, and vise versa. Finally, it enables researcher to utilize mixed methodologies within the same inquiry to get deep and ranged understanding.
A false dichotomy exists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with all distinctions between two methods lying on continua. Relying on only one type of data is extremely limiting, and ‘uni- research’ is a threat to the advancement of the social scienc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술교육의 질적, 양적인 측면
Ⅲ.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통합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