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은 왜 배우는가?

이용수 238

영문명
What Is the Reason for Learning Art?: Changes of Learner’s Recognition on Art through Art Expression Teach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사라(KIM, Sa-R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5호, 575~59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미술표현의 형식주의에 갇혀있다면, ‘미술을 왜 배우는가?’에 대해 학습자를 설득할 수 없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미술표현 지도 사례를 통해 학습자의 미술에 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방법 미술실기에 자신감이 부족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명을 연구대상으로, ‘나는 어떤 사람인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를 주제로 학생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미술작품을 계획하고 제작하였다. 지면의 한계로 한 학생(가명-아영)의 작품과 면담 내용만을 자료로 사용하여, 전형적 사례를 이해하고 문화 패턴을 연구하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분석하였다. 결과 아영은 사전면담에서 미술은 ‘머리를 안 써도 되는 것’, ‘만드는 것’, ‘공부가 아닌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고학년임에도 유치원이나 저학년 때와 다를 바 없는 미술활동을 하고 있었다. 본격적 수업 전에 자신을 가장 잘 나타내는 사진을 골라 자기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며 의미-이미지를 연결하는 사전 경험을 제공하였다. 아영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넝쿨>이라는 아크릴화를 제작했으며, 주변 사람들에게 따뜻한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을 넝쿨, 흔들의자 등으로 꾸민 거대한 화분으로 표현했다. 사후 면담을 통해, ‘그림은 사진이 할 수 없는 역할을 하는 것’, ‘미술표현을 통해 찾을 수 있는 자기’, ‘좋은 미술작품은 개성 있고 만족스러운 것’, ‘미술은 글보다 더 넓은 범위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라는 미술에 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첫째, 스토리텔링은 학습자가 주제에 맞는 의미를 구성하고, 그 의미를 조형언어로 적절히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미술창작은 유아적 미술활동의 수준을 뛰어넘는, 고차원적인 자기 삶에 관한 탐구를 기반으로 한 창작활동이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삶을 위하여 미술을 배운다는 의미는 교사가 직접 가르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스스로 경험하고 깨달아야만 그 설득력을 갖출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fact that confinement in the formalism of art expression cannot persuade student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at is the reason for learning art?’.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learner’s recognition on art can be changed through the case on teaching art expression. Methods This study is done for the objects of the three 6th graders with insufficient confidence in practical skills in art. The researcher planned and practiced art expression class for one 6th grader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 by focusing on the student’s work and the interview details. ‘What type of person am I?’ and ‘What type of person will I want to be?’ are presented as subjects, and the artwork was planned and produced through the story-telling of the student from plan preparation. Only one student’s (alias-Ayeong) work is used with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ith the student as data due to the limit of space to understand a typical case and do analysis as the qualitative case study on researching the culture pattern. Results A-yeong recognized art as ‘the thing not requiring the use of her head’, ‘making a thing’, and ‘the thing that is not study’ in the pre-interview and was doing an art activity like that of a kindergartener or a low grader even though she was a high grader in the elementary school. Before the actual class, she selected the best photo expressing her to talk about herself and provide the prior experience connecting the meaning and the image. She made the acrylics entitled ‘Vine’ through storytelling and expressed the mind of becoming a warm person to people around her with the huge pot decorated with the vine, the rocker, etc. The changes of learner’s recognition on art could be checked after artwork production. Those changes are ‘A drawing plays the role not replaced by a photo.’, ‘Finding self through art expression’, ‘A good artwork is unique and satisfying.’, and ‘The scope of art expression is wider than that of writing’. Conclusions First, conversation with a student helps a student organize the meaning suitable to the subjects and properly implement the meaning with the formative language. Second, the art creation of an upper elementary school grader should be the creative activity based on the higher quest for the life of self beyond the level of an infantile art activity. Third, the meaning of learning art is convincing only if a teacher cannot directly teach it but a student should experience and realize it for itself.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미술표현수업 사례를 통한 학습자의 미술에 관한 인식 변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사라(KIM, Sa-Ra). (2022).미술은 왜 배우는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5), 575-590

MLA

김사라(KIM, Sa-Ra). "미술은 왜 배우는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5(2022): 575-5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