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이미지 분석

이용수 475

영문명
Image Analysis of Children's Play: For 5 year old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황지영(Hwang Ji young) 정미래(Jeong Mi ra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5호, 385~40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20년부터 2년간의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동안 유아교육기관에 재학중인 만 5세 유아들이 경험하였던 놀이 이해를 위해 실시한 연구이다. 만5세 유아들이 코로나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사용 등 국가방역지침에 적응하며 제한된 놀이상황에서 경험한 즐거운 놀이를 파악하기 위해 이미지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들의 놀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유아기의 전인발달을 위해 필요한 놀이 지원을 위한 연구이다. 방법 서울, 경기, 충남, 전북 지역의 총 6개의 기관의 만 5세반 유아 159명(남아 80명, 여아 79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7일~2022년 2월 11일까지 유아의 놀이에 대한 그림을 수집하고 유아 면담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유아의 그림 및 면담 자료는 놀이관계, 놀이공간, 놀이유형, 놀이표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에서 유아의 놀이관계 대상은 주로 유아교육기관의 또래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혼자놀이 유형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놀이공간은 주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의 실내 환경이었다. 셋째, 유아의 놀이유형은 신체놀이가 가장 높았으며, 게임, 스마트폰, 미디어 기기 등의 놀이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놀이표정은 주로 긍정적으로 표현 되었으나, 마스크 착용의 그림과 입이 없는 얼굴, 사람이 없는 놀이장면 등이 나타났다. 결론 팬데믹 시기와 같은 제한적인 교육환경에서 경험하는 유아들이 인식하는 놀이 이미지를 확인하였고. 전인발달이 이루어져야 하는 결정적인 유아기에 예측할 수 없는 급변하는 미래 상황에서도 유아들의 균형 잡힌 놀이를 지원하고 다양한 놀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위기상황 및 제한된 상황에서도 영유아기의 일상생활이자 전인발달을 위한 놀이를 지원할 수 있는 유아교육과정 운영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play of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under various restric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this, it is a study to understand the image of children's play and to support appropriate play for children. Methods The research method targeted 159 children aged 5 and a half at a total of six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Chungnam, and Jeonbuk. A 5-year-old infant drew a picture of play and had individual interviews. Data analysis was analyzed by play relationships, play spaces, play types, and play expression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play of children, the subjects of play relationships of children were mainly recognized as pe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olo play was also very high. Second, the play space for children was mainly found to be the indoor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homes. Third, the type of play for children was mainly physical play, and the play for games, smartphones, and media devices was also high. Fourth, the play expression of children was mainly expressed positively, and the picture without masks and features was high. Conclusions The play images perceived by children experiencing limited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pandemics, unpredictable chang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at can be supported by children for their play in future situ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지영(Hwang Ji young),정미래(Jeong Mi rae). (2022).유아의 놀이에 대한 이미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5), 385-400

MLA

황지영(Hwang Ji young),정미래(Jeong Mi rae).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이미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5(2022): 385-4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