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XY+하다’구조로 본 중국어 형용사의 한국어 품사 대응 양상

이용수 440

영문명
The Appearance of Korean Responses to Chinese Adjectives as Seen Through the XY+hada Structure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장경아(Jang Kyoung-A)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4호, 467~49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중 동형동의한자어(同形同義漢字語)는 한국인이 중국어를 배우거나 중국인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어휘습득 면에서 크게 도움이 되는 긍정적 영향을 준다. 그러나 한국어와 중국어에서의 품사 및 활용방법이 달라서 학습시 종종 모국어의 영향으로 오류를 범하는 부정적 작용을 하기도 한다. 한중 동형한자어의 의미적 분석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진행되어 있으나 품사대응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본 논문은 ‘XY+하다’구조의 XY가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어휘임에 착안하여, 그중에서도 중국어 형용사만을 대상으로 한국어에서의 품사와 ‘XY+하다’구조에서의 품사의 대응양상을 조사하였다. 연구는 중국어빈도수사전에서 1위부터 4000위까지 출현하는 2음절어휘를 발췌하여 《现代汉语词典(第6版)》에서 품사와 용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립국어원의《표준국어 대사전》과 대조하여 ‘XY+하다’ 구조 속에 출현할 수 있는 한중 공통 한자를 추출해 품사별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한중 공통 XY는 모두 913개이고 이중 중국어 형용사가 포함된 어휘는 211개로서 약 23%를 차지한다. 본 논문은 211개의 형용사 어휘를 세 단계에 거쳐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형용사 단일 품사로 쓰인 어휘와 겸류로 쓰인 어휘로 분류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겸류를 유형별로 형용사와 명사 겸류, 형용사와 동사 겸류, 형용사와 부사 겸류, 형용사와 기타품사 겸류 등으로 나누었다. 세 번째 단계는 겸류 품사에서 사전의 의미항목에 쓰인 형용사 위치에 따른 대응양상을 살펴보기 위해《现代汉语词典(第6版)》을 기준으로 첫째 의미항목 품사가 형용사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다시 세분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XY+하다’구조 중의 “중국어형용사XY”가 한국어에서는 어떠한 품사로 대응되는지 알아보고, 또한 접미사 ‘-하다’와 결합한 구조에서는 어떠한 품사로 수행되는지도 알아보았다.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를 각각의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모국어에서 어떠한 문법구조를 생성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어순을 배열하는지 비교, 대조 분석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Homomorphic and synonymous Chinese characters in both of Korean and Chinese has a positive effect which is very helpful in learning vocabulary when Koreans learn Chinese or Chinese learn Korean. However, because of different parts of speech and usage of both Korean and Chinese, the homomorphic and synonymous chinese characters sometimes have negative consequenc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t mother tongue in Chinese and Korean language. The previous study on the semantic analysis of Korean-Chinese homonyms has progressed to some extent, but the study on the part speech response is still insufficient. Realizing the necessity, this paper focuses to examine only the Chinese adjectives by expressing the “part of speech” in Korean and the “XY+hada” structure respectively based on the XY in the XY+hada structure, which is a commonly used vocabulary in both Chinese and Korea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ocabulary of two syllables appearing from the first to the 4000th place in the Chinese frequency dictionary, Modern Chinese Pronunciation (6th ed.).“ By comparing the Chinese dictionary with the Korean National Dictionary of Standard Korean Languag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Chinese characters common to both of Chinese and Korean which appear in the structure of XY+hada are extracted and classified as “parts of speech.”As a result of both investigations, there are 913 commonly used Korean-Chinese XY, and out of them 211 vocabularies belong to Chinese adjectives account for about 23%. This paper classifies and analyzes 211 adjective vocabularies in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classifies a vocabulary used as a single part of adjective and a vocabulary used as a “shared categories.” In the second step, “shared categories” are distinguished by types such as “adjectives and nouns”, “adjectives and verbs”, “adjectives and adverbs”, and “adjectives and other parts of speech.” Finally, the third step is examining the correspondence patter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djective used in the dictionary semantic item based on the modern Chinese dictionary (sixth edition), to further subdivide first semantic item into “adjectives with meaning” and “adjectives without meaning.”In this sort of XY+hada structure, we can see what part of the Chinese adjective XY corresponds to what “part of speech” in Korean, and what “part of speech” is performed in the structure that is combined with the suffix - hada .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to construct a grammar structure in one’s native language and how to arrange the order of words for those who use Korean and Chinese as their mother language.

목차

1. 서론
2. 중국어와 한국어의 품사체계 비교
3. ‘X Y+하다’구조의 중국어 형용사 X Y의 한국어 대응양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경아(Jang Kyoung-A). (2018).‘XY+하다’구조로 본 중국어 형용사의 한국어 품사 대응 양상. 문화와융합, 40 (4), 467-494

MLA

장경아(Jang Kyoung-A). "‘XY+하다’구조로 본 중국어 형용사의 한국어 품사 대응 양상." 문화와융합, 40.4(2018): 467-4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