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린이들의 교실 밖 생활정치 현상의 의미: ‘박스집 만들기’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218

영문명
The Meaning of Life Politics by Children Outside of the Classroom: Focusing on ‘Building a Box-House’ cas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수룡(Lee, Su-Ry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2호, 1245~126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학교 내 생활세계에서 실천사례인 박스집 만들기를 관찰하고 이를 생활정치의 관점으로 이해하여 사회과 정치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학생 28명의 박스집 만들기 현장을 비참여 관찰하고, 필드노트, 박스집 만들기 일기, 면담등을 활용하여 2019년 3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들은 박스집 만들기를 통해 도구적, 특권적인 권력 관계를 생성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리고 어린이들은 무분별한 권력 행위를 견제하기 위해 방어적으로 투표권과 거부권을 행사한다. 둘째, 어린이 들은 박스집 만들기에서 발생한 문제를 민주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수결,대의제, 합의제를 경험한다. 셋째, 어린이들은 자신들의 필요와 요구를 실현하기 위해 사물과 관계 맺음을 시작하고,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인격적 상호작용의 관계 맺음으로 전환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일상적인 필요와 요구에서부터 시작하여 자신과 주변에서의 공적인 일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문제를 민주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스스로 정치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building a box-house’, a practice case ofchildren s lived-worlds in school, and to explore political educational in social studies meaning by understanding them in viewpoint of life politics. To this end,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from march 2019 to july 2019 and analyzed the ‘building a box-house’ of 28 fifth-grade students attending ○○ elementary school in ○○-si, gyeonggi-do, using field-notes, ‘building a box-house’ journals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try to create and maintain tool and privileged power relationships through ‘building a box-house’. And power is regulated by other children s defensive voting rights and vetoes. Second, children try to solve the problem of ‘building a box-house’ in a democratic way. And in the process, they experience a majority, a representative system and a consensual system. Third, children begin to relate to things in order to realize their needs and needs. And children voluntarily switch to a relationship of personal interaction to solve problems that have arisen. This study identified children s interest in public work around them, starting with day-to-day needs and needs.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children can become the subject of politics themselves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democratically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어린이들의 박스집 생활세계 관찰하기
Ⅳ. 어린이들의 교실 밖 생활정치 현상의 의미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룡(Lee, Su-Ryong). (2019).어린이들의 교실 밖 생활정치 현상의 의미: ‘박스집 만들기’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22), 1245-1269

MLA

이수룡(Lee, Su-Ryong). "어린이들의 교실 밖 생활정치 현상의 의미: ‘박스집 만들기’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2019): 1245-1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