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학생 의사소통 어려움과 학교적응행동 및 교육만족도의 관계

이용수 444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ulty-Student Communication Difficulties, School Adjustment Behavior,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민정(Park, Min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6호, 609~63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교수와의 의사소통에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나아가 교수-학생 의사소통 어려움과 학교적응행동 및 교육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11월과 12월에 대전 지역 대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생 의사소통 어려움 인식에서 학생들은 어려움을 많이 느끼지는 않았지만 하위변인 중 교수와 관련된 어려움을 상대적으로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생 의사소통 어려움 인식 수준에 따라 학교적응행동 및 교육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수-학생 의사소통 어려움은 학교적응행동 및 교육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적응행동에는 학생 개인과 관련된 어려움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교 육만족도에는 교수와 관련된 어려움과 학생 개인과 관련된 어려움이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수-학생 의사소통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밝히고 교수-학생 의사소통 어려움이 학교적응행동 및 교육만족도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and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difficulties on school adjustment behavior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by using a questionnaire method. A total of 198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indicated that students did not feel much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the faculty. However, they tended to feel more difficulty related to faculty than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individual students or school environments in the sub-variables of communication difficulties.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school adjustment behavior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s of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faculty. The group who recognized high communication difficulty had lower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 than the low group. Third, the faculty-student communication difficulti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behavior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Finally, the difficulties perceived by the students in faculty-student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behaviors. Specifically, the variable that affected the school adjustment behaviors were the difficulties related to individual students. Also, the communication difficulties perceived by the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case of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faculty and individual students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민정(Park, MinJung). (2019).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학생 의사소통 어려움과 학교적응행동 및 교육만족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6), 609-634

MLA

박민정(Park, MinJung).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학생 의사소통 어려움과 학교적응행동 및 교육만족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6(2019): 609-6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