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 학업성취도의 관계

이용수 1579

영문명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한샘(Lee, HanSaem) 서은희(Seo, Eun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5호, 959~97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핵심적인 역량으로 꼽히는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자기조절능 력, 그리고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61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한 달간 자기보고식 검사를 진행하였 다.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사소통능력이 협력적 자기조 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의 학업 성취도 평가가 의사소통능력 및 협력적 자기조절능력을 반영하지 못하며, 아직 대학 교육에서 개인적 학습역량 향상에 집중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능력, 협력적 자기조절능력, 학업성취도에 따른 군집 유형 분석 결과 4가지 유형의 군집(세 요인 모두 높은 집단, 세 요인 모두 낮은 집단,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자기조절능력은 낮으나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자기조절능 력은 높으나 학업성취도는 낮은 집단)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업성취도와 의사 소통,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이 일치하지 않는 집단에 대한 대학 차원의 교육적 지원 계획이 필요하다는 교육적 함의와 대학이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방안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논의에서는 이와 같은 소통과 협업능력을 반영한 대학 교육의 방향성 설정과 실질적 교육방안에 대한 탐구의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616 college students survey results were collected in March 2018.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positively predicted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However,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o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the first group of students with high communication competence, high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high academic achievement; the second group of students with low communication competence, low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the third group of students with high communication competence, high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forth group of students with low communication competence, low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high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imply that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re not reflected in the evaluation of the academic performance in university.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한샘(Lee, HanSaem),서은희(Seo, EunHee). (2018).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 학업성취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5), 959-975

MLA

이한샘(Lee, HanSaem),서은희(Seo, EunHee).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 학업성취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5(2018): 959-9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