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업주부 결혼이주여성의 엄마되기 경험: * 강화군 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247

영문명
Experience of Becoming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s Housewives: Focused on Ganghwa-gu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국진(Lee, Gukjin) 정가윤(Chung, Kayoun) 배성아(Bae, Sungah)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5호, 821~8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업주부 결혼이주여성이 새로운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언어 관계 속에서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면서 경험하는 엄마되기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거주하는 전업주부로서 만6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출신으로 8명이다. 연구참여자들은 강화군 다문화가족 지원센터를 통해 눈덩이 표집을 했으며, 주요한 질적연구 자료수집은 심층면담과 양육 정보가 소통되는 다양한 현장에서의 참여관찰로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이루 어졌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자녀로 인해 한국의 ‘새로운 삶에 닻(anchoring) 내리기’를 결심했고, 자녀가 어린이집 등 기관생활을 하게 되면서는 ‘나는 외국인 엄마 ’임을 더욱 실감하며 한국어 소통의 어려움을 이야기 했다. 그러나 그러한 어려 움은 도리어 ‘강한 엄마, 훌륭한 엄마’ 되기를 실천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 궁극에는 자녀에게 일하는 여성으로서의 모델을 보여주기를 원했다. 또한 결혼 후 모국을 방문하거나 모국의 친인척이 한국에 체류하게 되면서 ‘초국적(transnational) 엄마’로서 자신의 강점을 발견해 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업주부 결혼이주여성의 유아기 자녀양육을 통한 엄마되기 경험으로 ‘부족한 어머니’라는 사회적 담론을 넘어서서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재인식하는 모습을 조명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to explore becoming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women serving as housewives in the relationship with new Korean society, culture, and language while raising young children. Participants were eight housewives immigrated from China, Vietnam, and Philippine and raise children with less than six years old living in Ganghwa-gun, Incheon. Snowball sampling was carried out from them through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Ganghwa-gun and collecting data for major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by participating observation in a variety of fields where in-depth interview and raising information are shared from June to December 2013. The study showed that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determined to “drop anchors in new life” in South Korea because of their children and described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as they strongly feel that “I am a foreigner mother” while their children join an organizational life such as daycare centers for the first time. Nevertheless, this difficulty acted as a driving force to practice becoming “strong mother and great mother” and they ultimately wanted to show a model as a working woman to their children. In addition, they began to identify their strong points as “transnational mothers” as they visit their motherlands after marriage or their relative stay in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d on married immigrant women as housewives who leap social discourse as “inadequate mothers,” identify their strong points, and recognized themselves again as their experience of becoming mothers through young children parent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국진(Lee, Gukjin),정가윤(Chung, Kayoun),배성아(Bae, Sungah). (2018).전업주부 결혼이주여성의 엄마되기 경험: * 강화군 지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5), 821-843

MLA

이국진(Lee, Gukjin),정가윤(Chung, Kayoun),배성아(Bae, Sungah). "전업주부 결혼이주여성의 엄마되기 경험: * 강화군 지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5(2018): 821-8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