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이해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723

영문명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Receptive Skill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백재파(Baek Jae P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5호, 6689~712쪽, 전체 -597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이해 교육 분야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증거 기반 교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83년에서 2017년까지 발표된 읽기 교육 분야 38편의 연구에서 54개의 효과크기, 듣기 교육 분야 37편에서 54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한 후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648로 중간 효과크기에 해당하고, 듣기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820으로 큰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둘째,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읽기 교육 분야의 경우 읽기 자료 활용(.948), 어휘(.742), 전략(.667), 다독(.582), 읽기 방법(.525)의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교육 분야에서는 발음(1.413), 어휘(1.109), 전략 (1.006), 매체 활용(.970), 섀도잉(.681), 받아쓰기(.567), 딕토글로스(.449)의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습자 언어권, 숙달도, 학급 인원수, 수업 횟수, 학습 목적을 조절변인으로 상정하고 분석한 결과 읽기, 듣기 교육 분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분석된 연구 결과는 영어교육학 분야에서의 메타분석 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evidence-based instruction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n teaching of receptive skills in Korean and presenting the results. To this end, 54 effect sizes were extracted from 38 studies on reading education and 54 effect sizes from 37 studies on listening education for a meta-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tire effect size of reading education was medium at .648 while that of listening education showed a large effect at with .820. Second, the analysis on effect sizes b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vealed the effect sizes in reading education with following order: use of reading materials (.948), vocabulary (.742), strategy (.667), extensive reading (.582), reading method (.525). The effect sizes in listening education sections were: pronunciation (1.413), vocabulary (1.109), strategy (1.006), use of media (.970), shadowing (.681), dictation (.567), Dictogloss (.449). Third, an analysis based on the moderating variables including native language of Korean learners, proficiency,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number of lessons, purpose of stud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reading or listening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 was compared and discussed with the meta-analysis result from studies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재파(Baek Jae Pa). (2018).한국어 이해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5), 6689-712

MLA

백재파(Baek Jae Pa). "한국어 이해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5(2018): 6689-7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