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공계형 플립러닝 모델이 학습자 인식, 자율성, 수업 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연구

이용수 824

영문명
The impact of flipped-learning on engineering and science major learners perception, self-autonomy and interes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성희(Cheong, Sung Hui) 곽민정(Kwak, Min J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2호, 353~37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학 콘텐츠 기반 전공 수업에서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이(이하 공학형 플립러닝 수업) 학습자 플립러닝 인식, 플립러닝 선호도, 수업참여에 대한 인식, 수업참여 및 자율적 활동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고안된 연구이다. 서울소재 한 남녀공학 종합대학에서 공학설계입문 교과를 수강하는 2개 분반 106명의 대학생에게 2016년 9월-12월 사이 15주간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4개 영역관련 인식 및 선호도 변화를 측정하는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Minitab을 사용한 학습자 플립러닝 인식과 흥미도 변화 관련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공학형 플립러닝 수업 이후 인식, 선호도, 수업참여도 및 흥미도, 자율적 참여의지도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50-60명 정도의 많은 학생 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플립러닝의 핵심인 학생 자율 발표 기회 제한 등에서의 한계점을 가진다. 하지만 현대학 수업의 현실에 맞춰 개발한 현실적 모델을 사용하였고 온라인 사전 교육 자료를 제공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플립러닝 모델을 구조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목 특성 및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플립러닝이 이공계열 수업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 본 연구의 교육적 함의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플립러닝을 이공계열로 확산하도록 향후 연구를 제언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rts to report engineering and science major learners (1) perceptions about flipped-learning(FL), (2) preferences for FL, (3) perceptions about class-activity-participation, and (4)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A total of 106 participants who were enrolled at two separate FL classes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mpleted a pre-post perception & preference- analysis - questionnaire (hereafter PP AQ ). This instrument contained 4 domains(e.g., perceptions about FL and class-activity participations, preferences for FL and learner- willingness). The PP AQ results portrayed that their FL experience helped them to improve their (1) understanding about FL and (2) preferences for FL (3) interests in doing class-activities and participating in FL activities, and (4)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FL classes. Even though this study revealed the limitations of completing a teaching goal of FL with a huge class size of 50-60 students, it resulted in the success of reflecting a real-class size. Moreover, this study also portrayed that traditional FL class models, which provide the learners on-line materials as a pre-class, should not necessarily be the ideal model of FL. On the other hand, reflecting learners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classes can be the keys for the success in teaching FL classes in engineering and science field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research w hat factors w ould encourage other engineering major learners to be attracted to FL classes and to expand this teaching method into this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플립러닝 적용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희(Cheong, Sung Hui),곽민정(Kwak, Min Jeong). (2017).이공계형 플립러닝 모델이 학습자 인식, 자율성, 수업 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22), 353-376

MLA

정성희(Cheong, Sung Hui),곽민정(Kwak, Min Jeong). "이공계형 플립러닝 모델이 학습자 인식, 자율성, 수업 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2(2017): 353-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