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105
- 영문명
- The ‘Educational’ Effects of Parent-Inclusive School Culture: Focusing on Economically and Culturally Disadvantag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조예진 송효준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4호, 245~2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가 지닌 교육적 효과를 ‘사유재’의 관점에서 바라보던 여러 선행연구의 논의를 확장하여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가 해당 학교 학생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미치는 ‘공유재’적 자원으로 바라볼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특히,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탐색적인 시도로서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들의 교육적 어려움에 주목하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실시한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의 2018년 자료 중 한국 자료를 바탕으로 다층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의 교육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촉진 및 지원하는 학교수준의 문화 조성 노력을 통해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의 교육적 불리함이 완화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정의 경제・문화적 배경이 지닌 교육적 영향력을 완화하고 교육적 형평성을 제고하는 것이 주요한 사회적 관심사인 한국의 맥락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학교개혁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parental involvement as a valuable school-level resource rather than just a private matter. As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the benefits of parental involvement, this study focuses on a broader view of parental involvement in school education as a shared educational asset for all students.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sitive impacts of cultivating a parent-inclusive school culture, with a particular focus on students facing economic and cultural disadvantages. Using South Korean subset of PISA 2018 dataset, this study conducte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839 students from 169 schools.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actively promoting and supporting parental involvement at school level can help alleviate some of the educational challenges faced by these disadvantaged students.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where addressing the educational disparities related to families'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s is a significant societal concern,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educational refor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재조명과 국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 정부당파성에 따른 교육시장화 비교 분석 연구 : 유럽 및 북미 국가의 민간교육 투자와 사립학교 등록 비율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분석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정 다중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서울시립대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분석
-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비용함수를 활용한 고등교육기관의 지출 요인 추정: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정책피드백이론(Policy Feedback Theory)을 통한 BK21 사업 변동과정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