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126
- 영문명
- “The power of collaboration is remarkably potent!”: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Formation of Collaborative Relational Structure of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search Team at Moonlight Prim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이성회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4호, 29~6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지난 3년 동안 달빛초(가명)에서 세계시민교육 일반화를 가능하게 했던 교내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와 학교 환경의 형성 과정을 탐구했다. 이를 위해 관계적 AGIL 도식(Donati, 2022)을 이론틀로 삼아 연구팀 관계구조의 목적, 가치, 수단, 규범의 변화과정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연구팀은 연구팀 리더의 변화란 시점을 기준으로 전기의 위장된 협력 관계구조에서 후기의 호혜적 협력 관계구조로 변화했다. 후기 연구팀은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일반화란 상황적 목적(G)을 추구하기 위해 상호존중에 기반한 동참의 가치(L), 일반화를 위해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된 다양한 관계적 수단의 정교화(A), 관계 안에서의 윤리적 책임을 강조하는 연대의 관계 규범(I)으로 구성된 AGIL 관계구조를 형성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호혜적 협력의 관계구조를 형성하는 데 있어 핵심 기제는 연구팀 교원들의 관계적 성찰로, 이는 팀원들에 의해 구성된 제3의 실체인 우리-사이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재함을 알고 그 ‘사이’가 좋게, 개인과 공동체 사이의 앙상블을 추구할 수 있는 관계적 주체들이 발휘하는 성찰의 유형이었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plored the collaborative relational structure of a research team of educators at Moonlight primary school (pseudonym), which enabled the mainstreaming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hereafter, GCED) into the school over the past three years. To do so, this research employed the relational AGIL scheme(Donati, 2022)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changes in the purpose, values, means, and norms of the research team’s relational structur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research team underwent transition from an initially contrived collegiality to a later reciprocal one, with the turning point marked by a change in leadership. The late-stage research team’s reciprocal relational structure was characterized by a pursuit of situational goals (G) related to the mainstreaming of GCED at Moonlight primary school, grounded in values of mutual respect(L), a sophisticated planning of various means(A) meticulously designed for mainstreaming GCED, and an emphasis on ethical responsibilities within teacher relationships(I), forming an AGIL relational structure. The key mechanism in shaping this reciprocal relational structure(AGIL) was the relational reflexivity of the research team members. They, as relational subjects, were able to recognise the relational order of reality, that is, we-‘relation’, a third entity constructed by team members that remains invisible but embodies the potential for teacher collabo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관계적 AGIL 도식
Ⅲ. 연구 방법
Ⅳ. 달빛초 연구팀과 학교환경의 관계구조 형성 과정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재조명과 국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 정부당파성에 따른 교육시장화 비교 분석 연구 : 유럽 및 북미 국가의 민간교육 투자와 사립학교 등록 비율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분석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정 다중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서울시립대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분석
-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비용함수를 활용한 고등교육기관의 지출 요인 추정: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정책피드백이론(Policy Feedback Theory)을 통한 BK21 사업 변동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