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이용수 62
- 영문명
- A Study on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in the last 3 decad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김용일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4호, 269~29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교육정치학회 창립 30주년을 목전에 둔 시점에 연구 활동과 학회 운영 측면에서 그간의 성과를 살펴본 다음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논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시작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의 다양한 문건, 학회 홈페이지에 탑재된 학회지를 포함한 각종 활동 자료, 정부의 정책 문서 등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고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정치학의 영향으로 교육학계에서는 교육에 대한 비정치의 신화가 상당 수준 극복되었으나 교육계는 여전히 비정치의 신화에 붙들려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회가 청년기에 접어들어 회원 규모나 재정 등의 면에서 안정화되고 연구의 양적 성장도 함께 이뤄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향후 과제인 연구의 질적 확충은 소극적으로는 교육정치학이 교육학 연구 전반의 보수성과 관제적 성격을 극복하는 데 기여하는 일과 관련이 있으며, 적극적으로는 정책연구의 비판적 기능을 회복하는 데서 찾아야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넷째, 연구의 질적 확충을 위해 ⑴ 5.31 교육개혁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⑵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증거 기반 연구, ⑶ 교육의 계급화에 대한 적극적인 학문적 대응 등을 주요 탐구과제로 집약・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hievements of the politics of education(PE) during the last 30 years and discuss its tasks. For this, the author focuses on apolitical myth of education and the empirical data which evidence the quantitative growth of policy studies. And then, considering the tasks for broadening the qualitative aspects of PE, the author proposes research item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nd tim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found that while education scholars almost overcome apolitical myth of education on behalf of PE, most educators are not yet freed from it. Secondly the author finds that there have been the quantitative growth of PE, which is based on consolidating the Korean Society for the Politics of Education(KSPE). Thirdly the author finds that the task for broadening the qualitative aspects of PE negatively comprises contributing to overcome conservative and government manufactured feature of education research. On the other hand, the task positively contains strengthening the critical functions of PE beyond policy legitimization. Fourthly the author proposes three imminent tasks; the summative evaluation of 5.31 education reform, the evidence-based research of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academic society’s positive response to the class divide of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교육에 대한 비정치의 신화 극복과 연구의 양적 성장
Ⅲ. 교육정치학의 향후 과제
Ⅳ.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재조명과 국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 정부당파성에 따른 교육시장화 비교 분석 연구 : 유럽 및 북미 국가의 민간교육 투자와 사립학교 등록 비율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분석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정 다중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서울시립대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분석
-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비용함수를 활용한 고등교육기관의 지출 요인 추정: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정책피드백이론(Policy Feedback Theory)을 통한 BK21 사업 변동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