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6
- 영문명
-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Positivity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s perceived by University Faculty and Staff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한송이 권은비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4호, 425~45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긍정적 인식이 조직 혁신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2년 대학혁신역량진단조사(UICA)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전국 61개 대학의 7,902명의 교직원 응답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에는 다층모형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은 조직 혁신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조직 문화 이론 발전에 기여하며, 대학 조직 차원에서 교직원에 대한 인적자원개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faculty and staff’ organizational positivity perception of university organization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collected through the 2022 University Innovation Capacity Assessment (UICA) were used. Samples include 7,902 faculty and staff members from 61 universities. A HLM method was conducted to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positivity perceived by faculty and staff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organizational culture theory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for faculty and staff members at the university organizationa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재조명과 국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 정부당파성에 따른 교육시장화 비교 분석 연구 : 유럽 및 북미 국가의 민간교육 투자와 사립학교 등록 비율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분석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정 다중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서울시립대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분석
-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비용함수를 활용한 고등교육기관의 지출 요인 추정: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정책피드백이론(Policy Feedback Theory)을 통한 BK21 사업 변동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