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이용수 72
- 영문명
- Analyzing the Discour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the Policy Argument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박균열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4호, 365~3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정책 취지를 올바르게 구현하기 위한 정책 수단과 내용이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담론을 분석하여 정책실행에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Toulmin et al.(1979)의 분석틀을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정책논변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고교학점제는 대입전형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민적 공감대를 필요로 하는 교육정책이기 때문에 사회적 합의와 공론화 과정을 거쳐 순차적으로 연착륙할 수 있는 기반을 공고히 해야 한다. 다음으로, 고교학점제의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교원 및 시설의 쟁점들에 대해 단편적 접근에 경도되는 경향에서 벗어나 총체적・ 유기적인 접근으로 단위학교에 연착륙될 필요가 있다. 이는 본 연구의 논변분석에서 제시하였듯이, 기술적 실현가능성과 정치적 실현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iscourse through the policy argument model and proposes implications for policy implementation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policy means and contents are important for the correct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purpo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reorganized and utilized Toulmin et al.’s (1979) analysis framework.The conclusions of the analysis using the policy argument model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an education policy that requires public consensus in consideration of its linkage with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it is necessary to solidify the foundation for a soft landing sequentially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 consensus and public discussion. Next, we need to move away from the tendency to take a piecemeal approach to the issue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al evaluation, and teachers and facilities, and move toward the holistic approach. There needs to be a soft landing for unit schools with an organic approach. As suggested in the argumen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it seems necessary to have a strategy that can comprehensively enhance the technical feasibility and political feasi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고교학점제에 대한 정책논변 분석
Ⅴ. 정책적 함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재조명과 국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 정부당파성에 따른 교육시장화 비교 분석 연구 : 유럽 및 북미 국가의 민간교육 투자와 사립학교 등록 비율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분석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정 다중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서울시립대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분석
-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비용함수를 활용한 고등교육기관의 지출 요인 추정: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정책피드백이론(Policy Feedback Theory)을 통한 BK21 사업 변동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