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이용수 91
- 영문명
-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Authority Infringement using Q Method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채윤정 이지희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4호, 6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교사양성과정에서 교권 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권침해를 Q방법론을 통해 표본을 추출한 후 PQ Method 2.3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는 교권침해에 대해 미디어를 통해 처음 접했다고 할 만큼 추상적이고 모순된 인식을 드러냈으며, 따라서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는 실제 교육 현장을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이 현실과 상이할 수 있어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권을 행사하거나 교권침해를 경험했을 때 대처방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교원양성과정에서 예비교사에게 교권관련 교육은 교권의 명확한 개념을 인식하고, 교권침해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fringement of teaching authority and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authority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achieve this goal, sample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authority infringement were extracted using the Q-methodology and analyzed using the PQ Method 2.35 program.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an abstract and contradictory perception of authority infringement, to the extent that they first encounter it through the media, and therefore lacked perception of authority infringement.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not experienced actual educational settings may have perceptions of authority and authority infringement that differ from reality.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educate pre-service teachers on how to handle authority and authority infringement when experienced in real educational setting. In light of this,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aim to instill in pre-service teachers (a clear understanding of authority and) the ability to address authority infringe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재조명과 국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 정부당파성에 따른 교육시장화 비교 분석 연구 : 유럽 및 북미 국가의 민간교육 투자와 사립학교 등록 비율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분석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정 다중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서울시립대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분석
-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비용함수를 활용한 고등교육기관의 지출 요인 추정: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정책피드백이론(Policy Feedback Theory)을 통한 BK21 사업 변동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