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이용수 87
- 영문명
- The Role and Issues of Local Governments in Region-Linked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신하영 박소영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4호, 457~48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부가 지역과 연계하여 수행한 대학재정지원사업의 변천과정을 분석하고 대학재정지원사업이 내실있게 운영되기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 중 지방대학을 정책대상으로 육성 및 적정화의 목적으로 이루어진 지원과 평가 사업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 사업 추진 관련 문건, 주요 정책연구보고서, 대학 재정지원사업과 지방대학 정책과 관련된 연구 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동안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은 대학의 구조조정,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 등의 정책기조를 바꾸어가며 변화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연계, 협력, 공동투자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지역과 대학 간 연계에 대한 요구정도와 기대수준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 요구되는 역할과 정책 참여 정도가 변화해 왔는데 이는 다소 선언적인 수준에서 그친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대학과 지역 간의 연계에 대한 명확한 상(象)이 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학의 연구기관, 지역 인재양성기관, 지역 혁신주체 역할 간에 혼동과 투자 분산이 나타나고 있다. 넷째, 지자체 입장에서 연계를 주도할 정도의 충분한 재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자율적 예산 집행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한계가 존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ses how financial support projects for universities led by the government have evolved and the implications of such projects. The research critically examines the progression of government-led financial support projects for universities that are integrated with local regions. It identifies the changing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these projects, which now focus on structural adjustments and enhancing local university competitiveness. The study reveals that local governments have taken on diverse roles, including forming linkages, fostering cooperation, and making joint investments. However, their participation and policy involvement has been largely declarative, with actual demands and expectations for regional-university connections not fully met. Universities also lack clarity in their roles, leading to confusion and scattered investment efforts. A significant obstacle identified is the insufficient resources available to local governments, alongside the absence of a legal framework for independent budget man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정부의 고등교육 정책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Ⅲ. 연구방법
Ⅳ.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자체의 역할과 쟁점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재조명과 국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 정부당파성에 따른 교육시장화 비교 분석 연구 : 유럽 및 북미 국가의 민간교육 투자와 사립학교 등록 비율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분석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정 다중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서울시립대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분석
-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비용함수를 활용한 고등교육기관의 지출 요인 추정: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정책피드백이론(Policy Feedback Theory)을 통한 BK21 사업 변동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