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이용수 192
- 영문명
- A Literature Review on Policy to Invigorate Small Schools: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mall School Characteristic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김재윤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4호, 175~20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작은 학교 관련 정책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작은 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을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작은 학교를 살리고자 하는 정책적 시도들에 대해 작은 학교 관련 정책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파악하고, 더 나아가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로서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작은 학교를 살리기 위해 시도되고 있는 특색 교육과정 운영(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학교-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운영, 무학년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고찰하였다. 작은 학교의 교육력 제고를 위한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활성화하는 데 있어 작은 학교에 대한 정책적 접근 방식을 행・재정적 차원에서 교육과정 정책 차원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가 제기된다. 그리고 작은 학교의 교육력을 증진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작은 학교만의 특색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정책적 차원에서 다각적이고 세심한 지원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in-depth discussions on policy to invigorate small school,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chool characteristic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policies on small school and focused on understanding small school characteristic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s to invigorate small schools. In this study, policy to invigorate small school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small school policy flows, and furthermore, small school characteristic curriculum as a policy to invigorate small school was reviewed overall. Based on this, we considered the op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curriculum that is being attempted to invigorate small school. In revitalizing the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small school characteristic curriculums to enhance the educational power of small school,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olicy approach to small schools from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level to the curriculum policy level. In addition, various and careful support is required at the policy level so that the unique curriculum of small school can be operated to enhance and revitalize the educational power of small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작은 학교 정책 흐름 고찰
Ⅲ.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재조명과 국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 정부당파성에 따른 교육시장화 비교 분석 연구 : 유럽 및 북미 국가의 민간교육 투자와 사립학교 등록 비율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분석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정 다중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서울시립대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분석
-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비용함수를 활용한 고등교육기관의 지출 요인 추정: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정책피드백이론(Policy Feedback Theory)을 통한 BK21 사업 변동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