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235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bate on Students’ Human Rights Trapped in the Guarantee of Learning Rights and the Resolution of School Violenc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Human Righ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권순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4호, 333~36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생인권조례 도입 이후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이라는 굴레에 주목하고, 그 굴레의 논리 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생인권조례 도입 당시부터 현재까지의 정책연구, 학술논문과 2022년 1월부터 2023년 6월까지의 학생인권 관련 언론보도, 기사, 토론, 관련 댓글 등을 수집하여 질적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이라는 굴레의 주요 논점은 다수 학생의 권리, 소수 학생의 일탈 행위, 수업을 방해하는 행위, 교권, 교사의 지도권과 수업권, 체벌 부활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중요한 것은 이 굴레의 기본 전제는 과거 전통적인 교육관에 기초한 학생다움과 결과중심교육, 그것을 위한 교사의 권위, 권한이 제한됨에 따른 갈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갈등을 강화시키는 기제로서 학부모의 문제도 끊임없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학생인권 논쟁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서는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의 법적 해결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야 함을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 주체들의 교육적 관계 정립과 미래사회에 필요한 학교 교육의 역할, 이에 따른 교사와 학생의 상을 구상함으로써, 보다 인권친화적이며 안전한 학교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ogic of restraints consisting of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learn and the resolution of school violenc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main point of the logic of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learn and the resolution of school violence are the bonded issues such as the rights of the majority of students, few students’ deviant behaviours, acts of hindering classes, teachers’ rights to discipline and teach, and reinstating corporal punishment. Importantly, the premises of this point are on the role and duty of students based on traditional thinking on education and the stress on educational excellence, and finally, the teachers’ authority. The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ccurred, and the influence of parents has escalated the conflicts.
Based on this finding, I argued that we must eliminate such restraints to raise new ideas and paradigms of students’ human rights issues. In concrete, I discussed that educational agents should bring ideas together based on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map out the role of schools for future society and education so that in the end, we can expect safe and human rights-friendly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학습권과 학교폭력 굴레에서 벗어난 학생인권 담론의 필요성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재조명과 국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 정부당파성에 따른 교육시장화 비교 분석 연구 : 유럽 및 북미 국가의 민간교육 투자와 사립학교 등록 비율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분석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정 다중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서울시립대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분석
-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비용함수를 활용한 고등교육기관의 지출 요인 추정: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정책피드백이론(Policy Feedback Theory)을 통한 BK21 사업 변동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