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이용수 98
- 영문명
- Analysis of the Prospects for Overcrowded Class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ccording to Future Population Chang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윤기현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0권 제4호, 143~17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급은 교육주체인 교원과 학생이 함께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적인 개념뿐만 아니라 교원의 전문적인 교육활동을 위한 기본 여건인 만큼 교육의 질 저하의 요인으로 제기되는 과밀학급에 대한 분석과 이에 대한 정책 방향 수립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의 학령인구 변동과 과밀학급의 현황을 살펴보고 초・중등학교에 대한 장래 과밀학급을 전망하여 향후 과밀학급과 관련된 정책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과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학령인구 관련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코호트요인법으로 분석하고 과밀학급이 발생하고 있는 주요 학군지를 대상으로 실제 지역 내 인구 변동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장래 학생 수 및 장래 학급 수는 점차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과밀학급은 이러한 추세에 따라 2025년을 제외하고 2036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2037년부터 반등하지만 다시 감소하였다. 2040년의 과밀학급은 2023년 대비 65.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소위 명문 학군지와 같은 특정 지역의 과밀학급의 경우 같은 지역 내 인구변동 구조와는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밀학급과 관련된 향후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classroom is not only a spatial concept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are carried out together by teachers and students, but also a basic condition for professional educational activities of teachers, it is important to analyze overcrowded classes and establish policy directions for them.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overcrowded class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projected the future overcrowded class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presented policy direction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overcrowded classes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school-age population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as analyzed using the cohort factor method using basic data, and compared with the actual population changes in the area for major school districts where overcrowded classes occur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number of future classes is expected to gradually decrease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overcrowded class will continue to decline until 2036 except for 2025 according to this trend, and it will rebound from 2037 but decline again, and the overcrowded class in 2040 is expected to decrease by 65.2% compared to 2023.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future policy recommendations related to overcrowded classroo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재조명과 국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 정부당파성에 따른 교육시장화 비교 분석 연구 : 유럽 및 북미 국가의 민간교육 투자와 사립학교 등록 비율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분석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유형 분석
-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한 정책적 시도 고찰: 작은 학교 특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부모 참여적 학교 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권 보장과 학교폭력 해결 굴레에 갇힌 학생인권 논쟁에 대한 고찰: 교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수정 다중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서울시립대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분석
-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고교학점제 담론 분석
-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지역연계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쟁점
- 교육정치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 대학 교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긍정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비용함수를 활용한 고등교육기관의 지출 요인 추정: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정책피드백이론(Policy Feedback Theory)을 통한 BK21 사업 변동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