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멜라니 클라인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피해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사례 연구

이용수 200

영문명
A case study of sandtray therapy for a child who is a school violence victim from Melanie Klein s point of view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윤행란(Hang-ran Yun)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8권 10호, 839~84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클라인의 이론을 적용한 학교폭력 피해 아동의 모래상자 치료 사례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만11세 여아이며, 2017년 1월 16일~2017년 6월 11일까지 총18회기를 매주 1회 50분씩 진행 하였다. 대상아동의 모래상자치료 과정을 부분대상과 전체대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부분대상의 편집 분열적 자리에서는 불안, 투사적 동일시, 분열로 구분하고 전체대상의 우울적 자리에서는 죄책감, 양가감정, 전체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양들은 사람들이 만지면 무서워해요 잡아 먹힐까봐”“아기양이 매번 엄마만 따라다녀” 이는 잡아 먹힐까봐 라는 두려움과 엄마를 떠날 수 없는 의존에 따른 불안의 모습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는 상담 초기에 나타난 부분 대상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아빠는 거의 언니편만 들어요. 아빠는 나를 거의 안 좋아 하는 거 같아서 엄마 곁에만 붙어있는 거예요”. 대상을 분열시키는 모습이 여러 회기에서 반복하여 나타났다. 전체대상에서 “심부름 하기 싫지만 원하는 거를 얻기 위해 심부름을 해요” 언니에 대한 양가감정의 모습은 전체성으로 가기 위한 내적 투쟁의 모습임을 볼 수 있다. “둘이만 붙어 있지 말고 여럿이 같이 놀자”와 “친구가 나한테 다가와 애교도 부리고 물어보기도 했어요”. 과도기적 과정으로 여러 회기를 거듭하면서 관계회복에 대한 대상통합의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과정은 부분대상을 지나 전체대상으로의 긍정적 변화를 이루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sandtray therapy of a child who is a school violence victim applying Klein s theory.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n 11-year-old girl, The sandtray therapy, course was conducted from January 16, 2017 to June 11, 2017, for a total of 18 sessions once a week for 50 minutes. The sand tray therapy process of a target child was divided into partial object and whole object, and analyzed. The paranoid-schizoid position of a partial object was classified into anxiety, projective identification and split by analyzing, and the depressive partial of the whole object was classified into guilt, ambivalence, and totality by analyzing. The child mentioned things such as Sheep are afraid of people touching them in fear of being eaten. , and Baby sheep only follows around its mom . she appears to be anxious in fear of being eaten and out of dependence on her mother. This is seen as partial object type that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the consultation. Also it has been repeatedly shown over several sessions that the child tends to split the objects by saying things like Dad always sides with my sister. Dad doesn t seem to like me much at all, and that s why I am so attached to my mom. In whole object point of view, the child showed ambivalence feeling toward her sister as in Although I don t want to do chores, I still do it to get what I want. and it can be considered as an existence of inner conflict to gain totality. In addition, the child went through transitional process over several sessions by mentioning things like Let s not just stick between two of us, and let s play with others together and A friend came over to me to show affection and ask questions. and demonstrated improvements on target integration through the restoration of relations.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process of sandtray therapy of the victims of school violence has made a positive change to the whole object beyond the partial object.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행란(Hang-ran Yun). (2018).멜라니 클라인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피해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사례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 (10), 839-847

MLA

윤행란(Hang-ran Yun). "멜라니 클라인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피해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사례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0(2018): 839-8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