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교재교구 제작 경험 이야기

이용수 297

영문명
Experiential story of pre-service teacher s teaching materials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김경철(Kyung-chul Kim) 김은옥(Eun-ok Kim)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8권 10호, 99~10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대학생들의 교재교구 제작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과 변화과정을 겪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2017년 1학기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 과목을 수강하는 S시 소재 A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교과목에 대한 설명과 함께 연구과정 및 취지에 대해 안내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어떤 교재교구를 제작할 지 연구자와 함께 논의하고 논의 결과에 따라 1명이 2개의 교재교구를 제작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가 교재교구 2개를 만드는 과정에 대해 반성적 저널과 교재교구 제작 계획서, 교재교구 계획, 실행, 평가 단계에서 동료학생들과 이루어진 평가 내용을 기록한 평가지, 교재교구 제작 과정을 담을 포트폴리오 등을 수집하고 이를 개방코딩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교육과 학생들은 교재교구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재교구 제작경험이 있을 때 부담감이 해소되었다. 또한 교재교구를 완성하였을 때 유아교육과 학생들은 완성도에 많은 아쉬움을 나타냈다. 유아교육과 학생들은 교재교구에 대해 다각적 측면에서 교재교구를 바라보는 시각이 생겼으며 교재교구 제작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changes in the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prepar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consisted of 32 students who were in the 2nd grade of A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 city, which took the course of Study and teaching of the textbook of the first semester in 2017 I explained the process and purpose. The participants discussed with the researchers what kind of teaching materials to produce and one person made two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s. The researchers used the reflective journal, the teaching material preparation plan, the teaching material plan, the assessment, the evaluation paper with the peer students in the evaluation stage, and the portfolio for the preparation of teaching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open cod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fantasy about teaching materials. The burden was relieved when there was experience of making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when the teaching materials were comple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showed a lot of unsatisfactory completenes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the viewpoint of the textbook parish was seen from various aspects of the textbook parish, and showed confidence in the production of the textbook parish.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해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철(Kyung-chul Kim),김은옥(Eun-ok Kim). (2018).예비유아교사의 교재교구 제작 경험 이야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 (10), 99-107

MLA

김경철(Kyung-chul Kim),김은옥(Eun-ok Kim). "예비유아교사의 교재교구 제작 경험 이야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0(2018): 99-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