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이용수 168
- 영문명
- Public Language Diagnostic Study for Migrants: Focusing on immi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network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안정민 한혜민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5호, 475~49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국민을 대상으로 국어 순화적인 관점에서만 이루어져 오던 공공언어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여 한국 체류 이주민을 위한공공언어의 진단을 시도해 보는 것이다.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영어, 중국어및 일부 언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국어로 제공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한국에서 이주민으로서 겪는 정보 부족의 어려움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주민들이 대한민국에서 초기 정착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접하게 되는 사회통합정보망사회통합프로그램 페이지의 공공언어를 진단하였다. 먼저 기술적인 용어 또는 표현, 거의 쓰이지 않는 단어 또는 표현, 어색한 표현을 기준으로 사회정보망 사회통합프로그램 페이지를 분석하였을 때, 이주민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법률 용어가 많았으며 어려운 문어체 표현과 주어와 서술어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문장, 번역투 문장, 외래어표현도 눈에 띄었다. 다음으로 388개의 어휘를 분석한 결과 초급 어휘가 18.81%였고, 중급에 해당하는 어휘가 43.04%로 가장 높았으며 고급은 21.65%에 달했다. 중급 이상의 어휘가 64.69%를 차지하고 있어 초급 수준의 이주민들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사이트에서 정보를 얻기가 힘들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주민 또한 엄연한 대한민국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알 권리’와 ‘평등권’을 보장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앞으로 공공언어 개선 및 정책을 논의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공공언어의 개선에 있어서 이주민의 입장 또한 고려하여 이주민의 정보 접근성이 제고될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discussion on public language, which has been made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purifying the Korean language for the Korean language-speaking people, and to attempt to diagnose public language for immigrants staying in Korea. Considering that information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is in Korean except for English, Chinese, and some languages, it is easy to guess the difficulty of lack of information as migrants in Korea. In this study, the public language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page of the social integration information network that migrants encounter for their initial settlement in Korea was diagnosed. First, when analyzing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page based on technical terms or expressions, rarely used words or expressions, and awkward expressions, there were many legal terms that were difficult for migrants to understand, and there was no match between difficult literary expressions and subjects and predicates. Sentences, translation-to-sentences, and foreign language expressions were also noticeable.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388 vocabulary, beginner vocabulary took up 18.81%, intermediate vocabulary took up the highest at 43.04%, and advanced took up 21.65%. Intermediate or higher vocabulary accounts for 64.69% of the time, suggesting that it will be difficult for migrants at the elementary and middle level to get information from the site without the help of others. However, migra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discussing public language improvement and policies in the future, as they are subject to the guaranteed “right to know” and “right to equality”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migrants’ access to information can be improved by considering migrants’ positions in improving public language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분석
3. 공공언어 진단의 틀
4. 사회통합정보망 진단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 [서평] 시금치와 앵무새가 가져온 기억
- [서평] 창조의 어두운 뒷면으로 초대하다
- [서평] 인류의 미래: ‘적응’과 ‘회복’의 시대를 향해
-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리터러시 연구 14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