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Roots and Tradition of “Eupjorhim” in K-Pop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수경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5호, 521~54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읊조림의 사전적 의미는 ‘뜻을 음미하면서 낮은 목소리로 시를 읊다’는 것으로 한자어의 ‘吟’ 또는 ‘詠’에 해당한다.즉 멜로디 없이 낭송에 가까운 형태로 말하는 것을뜻하며 그 대상은 주로 시(詩)이다.그러나 현대에 와서 읊조림은 ‘크게 질러 부르지않는 방식으로’‘음역대가 넓지 않은 노래를’‘자기 이야기하듯 부르는’ 의미로 널리 통용되고 있다.
이 논문은 현대 대중가요에서 ‘읊조림’이라고 일컬어지는 부르기 방식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먼저 우리 전통 시가에서 읊조림의 연원을 살펴본 다음 ‘읊조림’의 특징을 정리하여,현대 대중가요에서 읊조림의 전통을 계승했다고 볼 수 있는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읊조림이라는 방식이 갖는 전통과 계승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전통 시가에 나타난 읊조림(음영)의 의미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① 선율의 측면:가창과 구별되나 음의 높낮이가 있으며,단순한 읽기와 달리 리듬이 있다.② 노랫말의 측면:가창처럼 곡조를 감상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③ 창법의 측면: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연행할 수 있다.또한 듣는 사람을 감동시키기 위해 부르는 타자 중심의 연행이 아니라 자신의 흥취를 중시하는 자아 중심의 연행 방식이다.
현대 대중가요에서 다양한 예시를 통해 고찰해 본 결과,현대 대중가요에서 ‘읊조림’ 은.① 음역대의 폭이 크지 않은 선율,② 선율보다 가사 중심의 노래,③ 혼잣말하듯담담한 창법 등의 측면에서 전통 시가의 맥락을 계승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읊조림이란 현대 대중 가요가 외래적인 영향 뿐 아니라 우리 안에 존재하고 있는내재적인 전통에도 깊이 기대어 있다는 점을 상기하게 할 뿐 아니라,다양한 노래 부르기의 방식을 깨닫게 하고,결국 ‘노래란 무엇인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든다는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dictionary meaning of “eupjorhim” is “reciting poetry in a low voice while appreciating its meaning,” which corresponds to “吟” or “詠” in Chinese characters. However, “eupjorhim” is now widely used to mean “in a way that does not sing loudly” and “to sing songs that have a limited range of voices” as if individuals were referring to themselves. This thesis attempts to consider the way of “eupjorhim” in modern Korean popular songs, search for its origins in our traditional poetry, summarize its characteristic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deemed to have inherited the tradition of reforestation in modern Korean popular song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eaning of “eupjorhim” in traditional poetry can b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three aspects. ① The melody: Although it is less present than in singing, it exhibits pitch and rhythm contrarily to simple reading. ② The lyrics: It is does not aim to appreciate tune-like singing, but to convey meaning. ③ The singing style: It can be performed by ordinary people as well as experts. Furthermore, it is not an other-centered performance to impress the listener, but a self-centered performance method that values one's own enjoyment. Considering various examples in modern K-pop, “eupjorhim” inherits the context of traditional poetry regarding ① melody within a narrow range, ② song that is more lyrics-oriented than melody, and ③ a calm singing method as if talking to oneself.
“Eupjorhim” is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reminds us that modern popular songs deeply lean on both foreign influences and the inherent traditions that exist in us, but also makes us realize various ways of singing and, ultimately, leads us to reconsider “What Is Song?”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전통 시가에서 읊조림의 개념
3. 현대 대중 가요에 나타난 읊조림의 양상
4. 현대 대중 가요에서 읊조림의 수용과 계승이 갖는 의미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 [서평] 시금치와 앵무새가 가져온 기억
- [서평] 창조의 어두운 뒷면으로 초대하다
- [서평] 인류의 미래: ‘적응’과 ‘회복’의 시대를 향해
-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리터러시 연구 14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논총 제39집 목차
- 재한 중국 유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