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이용수 440
- 영문명
-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University Freshme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최지연 김민옥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5호, 387~41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의 성별,계열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고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하위 요소 간 영향 분석을 통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하위 요소별 평균 점수는 윤리와 보안이 높은 편에속하였으며 정서,참여는 낮은 편에 속하였다.
둘째,성별 차이 분석 결과 가치,자기조절,윤리가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더 높고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비판적 읽기만이 남학생의 평균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계열 차이 분석 결과 전체 하위 요소 중 자기조절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사회 계열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상관관계 분석 결과 윤리와 보안,가치와 자기효능감,정서와 참여가 높은 상관성을 보인 것과 마찬가지로 두 요소들은 서로 상대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변인과의 병행 연구,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종단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competency by gender and field of college freshmen and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between sub-elements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for each sub-elemen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was high for ethics and security, and low for affect and particip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gender difference analysis, values, self-regulation, and ethics showed higher average scores for female student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nd only critical reading showed higher average scores for mal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eries difference analysis, among all sub-elements, only self-regul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social class was the highest.
Thir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just as ethics and security, values and self-efficacy, and emotions and participation showed a high correlation, the influence factors also showed a high relative influence on each o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ed for parallel research with various variables and longitudinal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was sugges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 [서평] 시금치와 앵무새가 가져온 기억
- [서평] 창조의 어두운 뒷면으로 초대하다
- [서평] 인류의 미래: ‘적응’과 ‘회복’의 시대를 향해
-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리터러시 연구 14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