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이용수 146
- 영문명
- Research Trend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전대일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5호, 243~2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글쓰기 관련 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2001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연구된 논문 95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빅데이터 분석 방식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중심성 분석,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였다.빈도분석 결과로 나타난 키워드는 ‘대학’(190회),‘목적’(168회),‘능력’(151회),‘학문’(146회),‘대상’(143회),‘과정’(139회),‘유학’(136회),‘분석’(129회),‘내용’(124회),‘교재’(117회)였고,중심성 분석에서 연결중심성,근접중심성,매개중심성 모두 높은 수치로 나타난 단어들은 ‘목적’,‘유학’,‘대상’, ‘중심’,‘목적’,‘결과’,‘글’,‘과정’이었다.토픽 모델링을 통해 추출된 주제는 ‘학생 능력에 맞는 교재 선정’,‘읽기 자료를 활용한 글쓰기 역량 강화’,‘문화이해를 통한 글쓰기 교육’,‘자기성찰과 네러티브 글쓰기를 활용’,그리고 ‘학문 목적을 위한 아카데믹글쓰기’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in writing-related educational research for foreign students and discusses the results. To achieve this, a comprehensive review of 95 papers published from 2001 to August in 2023 was conducted. Various data analysis techniques were employ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o extract valuable insights. The keywords obtained from the frequency analysis were “university” (190 times), “purpose” (168 times), “competence” (151 times), “academic” (146 times), “target” (143 times), “course” (139 times), “study abroad” (136 times), “analysis” (129 times), “content” (124 times), and “textbook” (117 times). The result of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e similar words. The topics extracted through topic modeling were “selection of textbooks suitable for student ability,” “strengthening writing skills using reading materials,” “writing education through cultural understanding,” “utilization of self-reflection and narrative writing,” and “academic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these results,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nd thei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근거
3. 연구 방법
4.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 [서평] 시금치와 앵무새가 가져온 기억
- [서평] 창조의 어두운 뒷면으로 초대하다
- [서평] 인류의 미래: ‘적응’과 ‘회복’의 시대를 향해
-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리터러시 연구 14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