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이용수 267
- 영문명
- A Cas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Poetry Recita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서효원 김태수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5호, 415~44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학작품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 시 낭송을 활용한 교육 사례를 소개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 연구에서는 낭송이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의 전통적인 교육 방법이었음을 근거로 제시하였고,문학작품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 낭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이후 교육 과정을 설계하여,2023 년 6월 27일부터 7월 25일까지 수업을 진행하였다.수업을 마친 후에는 연구 참여에동의한 학습자 6인을 대상으로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고찰하였다.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첫째,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을 통해 어휘,발음,억양 부분에서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둘째,학습자들은 한국 문학작품 및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하였다.셋째,학습자들은 정서적 안정감과 치유적 효과를 경험하였다.넷째,학습자들은 해당 교육을 통해 한국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상승하였다. 마지막으로,‘시 낭송 대회 참가’라는 새로운 경험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신의 역량을발휘할 수 있었다.이 연구는 문학작품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 시 낭송 활동에 집중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밝힌 연구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또한,기존의 학습 활동은대부분 모방 시 쓰기 활동에 국한되어 있었는데,시 낭송이라는 새로운 학습 활동의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차별점을 갖는다.더불어,실제 수업의 사례를 제시하여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즉각적인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과 해당 학습이 교실에서의 교육으로 끝나지 않고 ‘시 낭송 대회 참가’를 통해 그동안 학습한 교육적 내용 활용의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ca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poetry recitation in literature and examine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study initially establishes that recitation and memorization have been traditional method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subsequently argues for the importance of memoriz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literary works. Following the design of an educational program, classes were conducted from June 27th to July 25th, 2023. After completing the class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using poetry recit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examined among six participants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e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vocabulary,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through the use of poetry recit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ly, learners developed an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Thirdly, learners experienced emotional stability and healing effects. Fourthly, learners gained confidence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is education. Lastly, participating in a ‘poetry recitation competition’ provided learners with an opportunity to showcase their 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focusing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oetry recit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literary works. Furthermore, it differentiates itself by suggesting the potential of a new learning activity, poetry recitation, while most existing activities have been limited to imitation writing activities. Additionally, by providing real classroom examples, it offers immediate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oreover, it extends beyond classroom education by offering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apply the educational content they have learned through participation in 'poetry recitation competitions.'
목차
1. 서론
2. 수업 설계
3. 연구 방법
4. 교육의 실제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 [서평] 시금치와 앵무새가 가져온 기억
- [서평] 창조의 어두운 뒷면으로 초대하다
- [서평] 인류의 미래: ‘적응’과 ‘회복’의 시대를 향해
-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리터러시 연구 14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