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이용수 209
- 영문명
- Study on the Effects and Methods of Writing Feedback: Focusing on comparison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writing feedback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송명진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5호, 43~6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를 학습자의 역량 함양과 관련지어 살펴보고 ‘대면글쓰기 피드백’과 ‘비대면 글쓰기 피드백’의 특징을 비교 연구함으로써,대학 글쓰기교육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글쓰기 피드백 교수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이를 위해,본고는 2022학년도 2학기 경기대학교에서<사고와표현>을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230명을 대상으로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글쓰기 피드백의 효율성’에 대해서 많은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답변을 했으며특히,글쓰기 피드백이 대학교육에서 목적으로 하는 학습자의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한편,‘글쓰기 피드백의 방법’에 관한 설문조사에서,대면 글쓰기 피드백은 교수자와의 개별적인 소통이 큰 장점으로 부각되었지만 소통에 익숙하지못한 학습자에게는 오히려 이러한 점이 단점으로 인식되었다.반면,비대면 글쓰기 피드백은 시공간의 한계를 초월하여 반복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강조한 응답생이 많았지만 즉각적인 소통의 어려움을 단점으로 지적한 응답자 역시 적지 않았다.
이상의 논의 내용에 기초했을 때,앞으로의 글쓰기 피드백 방향은 다음과 같이 설계되어야 한다.첫째,글쓰기 피드백 내용은 학습자의 역량 함양과의 인과성을 더욱구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기획되어야 한다.둘째,글쓰기 피드백의 방법은디지털 기술에 기초한 비대면 글쓰기 피드백과 대면 글쓰기 피드백을 적절하게 연계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학습자들은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글쓰기가 사고를 발견하고 확장시키며 역량을 함양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글쓰기 피드백이 이러한 학습자의 요구를 잘 반영하여 설계된다면,매우 효과적인 교수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riting feedback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writing feedback. Using this, we proposed a writing feedback teaching method.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230 learners pursuing at Kyonggi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Many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feedback.” Particularly, they believed that writing feedback was helpful in developing learners’ competencies. Moreover, a survey on “methods of writing feedback” revealed that individual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ctor was an advantage in face-to-face feedback, whereas it was a disadvantage for learners who were not accustomed to communication. Alternatively, being able to view repeatedly was an advantage in non-face-to-face feedback, whereas immediate interaction was a disadvantage.
Therefore, writing feedback should be design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writing feedback should be planned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ompetencies. Second, the method of writing feedback should be implemented by linking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writing feedback.
I believe learners need writing education. If writing feedback is designed to reflect the needs of learners, it could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목차
1. 서론
2. 글쓰기 피드백과 학습자의 역량 함양
3. 대면 글쓰기 피드백과 비대면 글쓰기 피드백 비교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 [서평] 시금치와 앵무새가 가져온 기억
- [서평] 창조의 어두운 뒷면으로 초대하다
- [서평] 인류의 미래: ‘적응’과 ‘회복’의 시대를 향해
-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리터러시 연구 14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