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이용수 926
- 영문명
- Study on how to use ‘generative AI’ in Writi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최상민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5호, 269~29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의는 글쓰기 및 토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대학생들이 AI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글쓰기나 토론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 진행된 사례 수업을 소개한 것이다. 본 논의에서는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해 고찰하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AI는 글쓰기의 전 단계에서 학습자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으며, 협력적인 작업을 통해 보다 훌륭한 결과물을 만들어내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둘째, 제한적이나마 AI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에서 강조점을 두어야 할 것은 프롬프트 능력을 개발하는 데 초점화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AI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은 학습자에게 두 가지의 제한점을 갖는다. 표절의 가능성과 결과물에 섞여 있을 수 있는 부정확한 정보나 거짓 정보들에 대한 정확한 확인과 검증작업 없이 사용했을 때 문제점이 그것이다. 따라서 글쓰기 윤리의 차원에서 가이드라인의 마련이 시급하다. 또 글쓰기 교육의 차원에서 학습자에게 검증과 확인 훈련이 절실하다는 점을 일깨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roduces case studie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college students with relatively poor writing and discussion skills can get help to prepare their writing or discussion with the help of an AI program.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I can be a good guide for learners in all stages of writing, and that better results can be produced through cooperative work.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hasis in writing education using AI, albeit in a limited way, should be focused on developing prompt skills. Third, writing education using AI has two limitations for learners. The problem is when it is used without accurate confirm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possibility of plagiarism and inaccurate or false information that may be mixed in the result. Therefore, it is urgent to prepare guidelines in terms of writing ethics. In addition, in terms of writing education, learners are awakened to the urgent need for verification and confirmation training.
목차
1. 문제의 제기
2. 대학 교양교육 환경에서 글쓰기 교육에 대한 성찰
3.‘ 생성형 AI’ 활용 사례와 가능성, 제한점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 [서평] 시금치와 앵무새가 가져온 기억
- [서평] 창조의 어두운 뒷면으로 초대하다
- [서평] 인류의 미래: ‘적응’과 ‘회복’의 시대를 향해
-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리터러시 연구 14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