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이용수 45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in Online Reading Debate Competition: Based on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백목원 신희선 서정혁 김지윤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5호, 347~386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대회의 교육적 효과를 점검하고,학생들의 인식을 수렴하여,비교과 활동의 하나인 온라인 독서토론대회를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제1회,제2회 온라인 숙명독서토론대회 본선에 진출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는 독서토론대회에 미친 대학 교양교육의 효과성,대회의 교육적 효과성과 독서토론 방식의 적절성,온라인 대회운영의 적절성과 효과성으로 진행되었다.이를 통해 온라인(ZOOM)에서 실시간 진행된 독서토론대회 전반에 걸쳐 학생들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독서토론대회가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토론과 글쓰기 교육이 활성화되고,교과 및 비교과의 연계가 필요하며,독서토론대회에 학생들의참가를 높이기 위해 적절한 주제와 지정 도서를 선정할 필요성과 온라인 공간에 청중들의 역할과 참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of participants in the final round of the online reading debate contest to check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ontest, collect students’ perceptions, and revitalize the online reading debate contest, which is one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 survey conducted on students who advanced to the finals of the 1st and 2nd Online Sookmyung Reading Debate Competi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on the Reading debate competiti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ompetiti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ading discussion metho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competition operation. It was conducted with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Through this, students’ percep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out the reading discussion contest held in real time online (ZOOM) and areas for improvement were sought. In order for the Reading debate competition to be conducted more effectively, discussion and writing education must be activated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connection between subject and non-curricular subjects is necessary, and there is a need to select appropriate topics and designated books to increase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Reading debate compet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role and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in online space is necessary.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 [서평] 시금치와 앵무새가 가져온 기억
- [서평] 창조의 어두운 뒷면으로 초대하다
- [서평] 인류의 미래: ‘적응’과 ‘회복’의 시대를 향해
-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리터러시 연구 14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