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이용수 227
- 영문명
- Study of a Korean Writing Class Plan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Focusing On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ansla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가원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5호, 65~9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를 전공하는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 방안을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한국어를 전공하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한국어’는 학술활동 수행을 위한 도구로서의 언어이면서 동시에 학문의 목표가 되므로,타 전공 유학생의 ‘한국어’와는 다른 층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따라서 한국어 전공 유학생의 전공글쓰기 수업은 학습 목적에 따라 차별화되어 설계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학습자 요구조사와 한국어 전공자에게 요구되는 글쓰기 능력의 목표를점검하여 교육 내용을 선정한 후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장르지식과 내용지식을 동시에 염두에 두어 ‘듣고 재구성하여 쓰기(Dictogloss)’ 활용 수업을 진행한 결과,한국어 통번역의 기초가 되는 듣고 재구성하기 능력 및 한국어 글쓰기 능력에 실제적,정의적,활용적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영향과 성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writing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For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Korean, the language serves a dual purpose as a tool for academic activities and an academic goal in itself, which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learners with different academic objectives. Therefore, it is crucial to tailor Korean writing instruction to meet the specific needs of this student population.
Therefore, the goal is to design writing classe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considering both genre and content knowledge.
After conducting a class using Dictoglos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impact and performance in practical, definitional, and practical aspects on listening and reconstruction skills, which are the basis of Korean interpretation/ translation and Korean writing.
목차
1. 서론
2. 한국어 전공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
3. 한국어 전공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방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 [서평] 시금치와 앵무새가 가져온 기억
- [서평] 창조의 어두운 뒷면으로 초대하다
- [서평] 인류의 미래: ‘적응’과 ‘회복’의 시대를 향해
-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리터러시 연구 14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