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이용수 523
- 영문명
- Developing Lifelong Writers in the Post-ChatGPT Era: How has th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hanged the environment of writing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성민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5호, 295~32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습자를 평생 필자로 기르는 것과 관련된 기존 접근들을 일별하고,생성 인공지능 기술이 대중적으로 활용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그 시사점을 교육적으로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탐색하였다.먼저 ‘일생 필자’(박수자,2007),‘문자언어 생태학’(Barton,2007),‘일상어 문식성’(Elbow,2011),‘독자 가르치기’(Afflerbach,2022) 등의 개념을 살피고,평생 필자를 기르기 위해 학습자가 ① 문자언어 운용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추고,② 글을 글답게 만들고,③ 쓰기에 대한 주인의식(소속감)과 자신이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다음으로 생성인공지능 기술의 특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①~③의 시사점이 어떻게 변용(강화, 약화)되어 적용되어야 하는지 검토하였다.할루시네이션에 대응하여 내용의 정확성, 신뢰성,공정성을 점검하는 것,질문이나 프롬프트 생성을 위한 기초 문해력을 신장하는 것,자기조절학습 또는 인식론에 바탕을 두어 성찰하는 것,주인의식(소속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쓰기에 참여하는 것 등이 논의되었다.이러한 작업은 교육과정에 제한적으로 구성된 가치·태도 범주의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고 그 취지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s previous approaches to developing learners as lifelong writers and explores their pedagogical implications in the current era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First, we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ifelong writers, the ecology of written language, vernacular literacy, and teaching readers. We derived that to develop lifelong writers, learners should: (1) lower the psychological barriers to using written language, (2) make written texts authentic, and (3) have a sense of belonging and control over writing. Next, we examined how these principles (1)~(3) should be transformed and appl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ve AI. The following were discussed: checking content for accuracy, credibility, and fairness in a case of hallucination; fostering basic literacy to generate questions or prompts; reflecting based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epistemology; and engaging in writing with ownership,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the refining of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values and attitudes” category, while achieving its purpose.
목차
1. 서론
2. 평생 필자를 기르는 것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3. 생성 인공지능 시대의 문식 환경 변화와 평생 필자 기르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 [서평] 시금치와 앵무새가 가져온 기억
- [서평] 창조의 어두운 뒷면으로 초대하다
- [서평] 인류의 미래: ‘적응’과 ‘회복’의 시대를 향해
-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리터러시 연구 14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