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불안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이용수 753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nxiety Attachment and SNS Addictive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Moderated by Relational Frustr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원형 황승포 강서연 김민선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851~86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SNS 중독경향성 안에 존재하는 관계적 메커니즘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불안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매개효과를 기본심리욕구 중 하나인 관계성 좌절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각 변인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를 위해 대학생 247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위해 매개모형, 조절모형, 조절된 매개모형의 순서로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최종 조절된 매개모형에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조절된 매개모형이 자료를 적합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불안애착이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경로를 설명함과 동시에 관계성 좌절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조절함을 의미한다. 결론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으며 두 변인의 관계는 거부민감성 및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관계성 좌절이 높을수록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서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경로를 더 강화할 수 있으며, SNS 중독경향성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의 문제를 이해할 때 관계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al mechanisms within SNS addictive behavior. To this en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establish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on the pathway from anxiety attachment to SNS addictive behavior, moderated by relational frustration. Methods Data from 247 university student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adequately explained the data, suggesting that relational frustration moderates the path of SNS addiction through anxiety attachment mediating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relational frustration moderates the path of SNS addiction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xiety. Conclusions Higher anxious attachment is associated with higher SNS addi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can be explained by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Furthermor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can be moderated by relational frustration, suggesting that relational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when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clients who complain of SNS addiction tend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원형,황승포,강서연,김민선. (2023).대학생의 불안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0), 851-866

MLA

이원형,황승포,강서연,김민선. "대학생의 불안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0(2023): 851-8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