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3

영문명
The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s' Social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in Scaffolding-ba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Engage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지은 남창우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831~84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4년제 A 대학교에서 교육공학 관련 교과목을 수강하는 예비교사 68명을 대상으로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을 제공한 후,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을 조사하고, 학습성과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aron과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1982)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유대감’, ‘공동체감’ 및 학습몰입의 하위변인인 ‘감성적 몰입’과 ‘학습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변인 간의 관계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학습몰입’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학습몰입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몰입’, ‘행동적 몰입’은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변인인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상호지원 및 집중’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예비교사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 및 수업 설계에 대한 실증적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of pre-service teachers’ in scaffolding-ba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CL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scaffolding-ba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with 68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Educational Technology-related courses in a 4-year university A,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n, this study surveyed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ngagement, and evaluated learning outcom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onducting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obel Test (1982).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a scaffolding-based OC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aining variabl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excep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affective connectedness’, ‘sense of community’, ‘emotional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Second,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engagement’ was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in scaffolding-based OCLEs. Third, Pre-service teachers' ‘cognitive engagement’ and ‘behavioral engagement’ were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communication’, ‘mutual support and empathy’ and ‘learning outcomes’ in scaffolding-based OCLEs. Conclusion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mpirical grounds and basic data for scaffolding-based OCLEs design and class design that can be used i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지은,남창우. (2023).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0), 831-849

MLA

정지은,남창우.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0(2023): 831-8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