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교육을 위한 현대시의 문화 요소 분석

이용수 284

영문명
Investigating aspects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s: Focusing on cultural elem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오수연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591~60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문학적인 측면보다는 문화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 요소를 기반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를 위하여 학문목적 학습자의 분포가 가장 높은 서울 소재의 12개 대학교의 한국어교재 141권에 수록된 현대시 75편에서 중복된 시편을 제외한 55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어교재에 수록된 현대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마련된 ‘표준 교육과정’ 중 3단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활용 점검 및 보완 연구」’의 문화 범주를 활용하여 시를 문화 요소로 분류하였다. 결과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활용 점검 및 보완 연구」3단계의 문화 범주를 활용하여 55편의 현대시를 문화 분류 항목인 ‘의식주문화’, ‘생활문화’, ‘언어문화’, ‘정신문화’, ‘역사문화’, ‘예술문화’, ‘전통문화’, ‘제도문화’, ‘지리문화’, ‘정보문화’의 문화 요소로 분류하였다. 문화 요소로 분류한 문화 항목 빈도수로는 ‘언어문화’가 55회, ‘지리문화’가 37회, ‘정신문화’가 36회, ‘생활문화’가 18회, ‘의식주문화’가 17회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어교재 141권에 수록된 현대시 55편을 ‘표준 교육과정’의 문화 요소로 분석한 결과 ‘언어문화’에 집중되어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지리문화’, ‘정신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낮은 빈도의 ‘제도문화’, ‘전통문화’, ‘역사문화’, ‘예술문화’가 포함된 다양한 문화 요소로 분류할 수 있는 시편들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modern poetr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a literary aspec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esent a way to use modern poetry more effective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cultural elements. Methods For this study, 55 modern poems, excluding overlapping psalms, were analyzed from 75 contemporary poems contained in 141 Korean textbooks at 12 universities in Seoul, which have the highest distribution of aca-demic learners. In order to analyze modern poetry contained in Korean textbooks, poetry was classified as a cul-tural element using the cultural category of the third stage of the “Standard Curriculum”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Results Using the cultural category of the “Checking and Complementing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55 modern poems were classified into cultural elements such as “Living Culture,” “Language Culture,” “History Culture,” “Art Culture,” “Traditional Culture,” “Instrumental Culture,” and “Information Culture.” The frequency of cultural items classified as cultural elements was 55 times for “language culture,” 37 times for “geographic culture,” 36 times for “spiritual culture,” 18 times for “living culture,” and 17 times for “receiving culture.” Conclus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55 modern poems contained in 141 Korean textbooks as cultural elements of the “standard curriculum,” they were concentrated on “language culture,” followed by “geographical culture” and “mental culture.” Psalm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cultural elements including low frequency ‘institutional culture’, ‘traditional culture’, ‘historical culture’, and ‘art culture’ should be ad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현대시 교육을 위한 문화 요소 선정
Ⅳ. 한국어교재에 수록된 현대시 양상 분석
Ⅴ. 문화 요소를 통한 현대시 분석의 실제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수연. (2023).한국어교육을 위한 현대시의 문화 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0), 591-609

MLA

오수연. "한국어교육을 위한 현대시의 문화 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0(2023): 591-6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