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Literac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Random Fores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수빈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905~9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초·중·고등학생의 정보역량 향상 요소를 규명하고, 그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머신러닝의 앙상블 계열 중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랜덤포레스트는 결정 트리를 기반으로 하는 앙상블 기법으로 과적합의 위험을 줄이고, 높은 예측 정확도와 안정성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연구와 실무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생 대상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추출하였다. 변수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정보역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식별하였다. 또한, Shap Value를 활용하여 각 주요 변수의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변수의 상대적 중요도와 영향력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공개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초·중·고등학생 1,469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모델의 학습 및 평가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설명변수로 정보활용,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서비스 이용도 등 총 20개를 선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구축된 최종 모델의 성능은 Accuracy 0.721, Precision 0.716, Recall 0.723, F1 Score 0.711로 나타났으며 주요 영향 변수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활용,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서비스, 사회적 자본,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서비스, 정보생산 및 공유정도, 생활서비스 이용도, 디지털 조력자로 나타났으며 각 변수의 Shap Value를 분석한 결과, 생활서비스 이용도(PC)를 제외하고 설명변수와 종속변수는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생활서비스 이용도(PC)의 경우, 응답 값의 증가가 Shap Value 값과의 뚜렷한 상관을 보이는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4차 산업 혁명으로 디지털 사회가 도래하였으며 이러한 사회에서 정보역량은 필수적인 핵심역량으로 개인의 학습 능력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생활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초·중·고등학생의 정보역량 제고를 위하여 SW·HW 교육, 디지털기기 활용 정보 재생산 교육, 디지털 태도 함양 교육 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improve information competenc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quantitatively evaluate their influence. For this purpose, the Random Forest algorithm among the ensemble series of machine learning was utilized. Random Forest is an ensemble technique based on decision trees that reduces the risk of overfitting and has high prediction accuracy and stabil-ity, so it is used in various research and practice. In this study,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information competency were extracted based on survey data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and key variables that had a particularly significant impact on information capa-bilitie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Shap Value was us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nfluence of each major var-iable, with the goal of clearly understanding the relativ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each variable.
Methods To fulfil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 used publicly available data from the National Information Agency, extracting data from 1,46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model training and evaluation. A total of 20 explanatory variables were selected, including information utilization,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level of usage of information-sharing services.
Results The final model built in this study showed performance metrics of Accuracy 0.721, Precision 0.716, Recall 0.723, and F1 Score 0.711. The key influencing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digital device usage efficacy, attitudes toward digital technology, information utilization, social relationships and information-sharing services, social capital, information production and sharing levels, usage level of lifestyle services, and digital enablers.
Conclusions The advent of the digital society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made information literacy an essential core competency, playing a crucial role in enhancing individual learning capabilities as well as general competitiveness in everyday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information literacy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 in software and hardware (SW·HW), training in in-formation reproduction through digital device usage, and foster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 digital technology ar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0호 목차
- 에듀테크를 통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적용 사례연구
- 정사각형 칠교판으로 만들 수 없는 볼록다각형에 대한 고찰
- 50세 이상 성인학습자의 박사과정 학습 경험, 학습 동기, 학습 실천의 의미
-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를 활용한 초·중·고등학생의 정보역량 영향요인 탐색
- 유아교사가 인식한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저해요인 탐색
-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회복탄력성, 비판적 사고성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을 위한 현대시의 문화 요소 분석
- 20년 이상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부부의 부부애착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가 유아의 신체활동태도에 미치는 영향
- 농어촌 소규모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사례 분석 및 개선 방안
- 외국인 유학생의 발표문 구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sili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Anxiety of Chinese Normal University Graduat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yles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청소년의 사회 참여 활동 현황 분석
- 생애 첫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 탐색
- 간호대학생의 교수 효율성, 동료 돌봄 행위와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관계
-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이 영아의 상호작용행동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BK21사업 참여를 통한 대학원생의 플로리싱(Flourishing) 경험에 대한 탐구
- 대학생의 불안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상담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 간 언어변화
- 컨템포러리 댄스에 대한 무용전공 대학생의 고정된 마인드셋과 동기조절, 연습참여 간의 관계
- 중학생의 학습자 주도성 수준 및 영향요인 탐색
- 한국어와 역사문화를 가르치는 태국 교수의 실천적 삶의 이해
- 다관점 디브리핑 적용 하이브리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 예비교사의 안전 역량 강화
- 경기도교육청의 IB 도입 현황 및 과제 탐색
-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에 따른 수학 평가 문항의 양호도 개선 가능성 탐색
- 교양영어 글쓰기 수업과 학습자 견해 분석
- 대학생의 진로 자기의심과 정서지능이 삶의 만족과 진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Adolescents’ Problematic Smartphone Use and Depressive Symptom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Self-Esteem
-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
- 특수대학원 재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영향요인
-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회복탄력성, 자기자비, 환자중심간호에 관한 연구
- 한국 여성 직업훈련정책의 변천과정 연구
-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형태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의 중다매개효과
- 아동의 그릿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을 위한 플립러닝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축구 코치의 코치 입문 경험에 관한 연구
- 미술 활동을 통한 상상 표현에서의 정서적 목표 설정에 관한연구
-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전남 지역혁신(iU-GJ) 공유대학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주짓수 학습자와 비학습자의 한팔업어치기 동작에 대한 근활성도 비교분석
-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사별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
-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의사결정참여의 매개와 조절효과
-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세계시민의식과 만국공용어로서의 영어(ELF) 인식
- 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인터넷 과의존
- 보육실습기관 교사 상호작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과 감정노동 및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 시민교육 관점에서 본 교권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를 위한 임상실습 교육 고찰
- 국제보건 역량 증진을 위한 해외간호연수봉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학 실습교과목의 간호역량, 실습교육방법, 교수법 관련 문헌고찰
- 보육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차이
- IoT 기술의 사회복지적 활용을 위한 서비스 러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