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20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K-MOOC, Teaching Presence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K-MOOC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Jinok Susanna Kim 한진욱 조혜영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39~5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K-MOOC 경험 여부에 따른 다집단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2022년 까지 K-MOOC 과정을 운영하는 충청권역 대학교 재학생 244명이다. SPSS 18.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와 다집단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경향성과 정규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결과는 첫째, 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은 적합했으며, K-MOOC 인식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교수실재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 MOOC 경험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K-MOOC 이수 재학생이 미이수 재학생에 비해 ‘교수실재감→대학생활 만족도’에 강력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K-MOOC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K-MOOC 활성화 방안을 대학과 학과 중점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MOOC perception, teach-ing presence,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K-MOOC courses using a multi-group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the trends and normality were assessed.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44 students at Chungcheong-do University who are taking K-MOOC courses by 2022. It was analyzed by the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using the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s. Results These are the main result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K-MOOC, teach-ing presence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was deemed suitable, and teaching presence was found to be a complete mediator in the process of K-MOOC perception affecting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participation in K-MOOC courses showed that ‘teaching presence ->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had a stronger influence on students who took K-MOOC courses than those who didn't, proving the partial adjustment effec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basic data to raise awareness of K-MOOC.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activate K-MOOC, focusing on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Jinok Susanna Kim,한진욱,조혜영. (2023).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0), 39-52

MLA

Jinok Susanna Kim,한진욱,조혜영. "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0(2023): 39-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